경제·금융 경제동향

美·中, 전기차 질주하는데…한국은 쫓아가기 급급

美 '320㎞ 주행' 인프라 구축

中도 삼성 실탄으로 육성 가속

韓, 4년뒤 20만대 수출한다지만

인프라·수리 전문인력 태부족

2315A09 전기차2315A09 전기차


급성장이 기대되는 전기차 시장을 잡기 위한 각국의 경쟁이 가열되는 가운데 우리가 시작부터 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기존 자동차 산업 강국들이 충전 인프라 확대 등으로 전기차 확산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우리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에 뒤늦게 대응하면서 자칫 ‘세계 생산 5위, 수출 4위’라는 자동차 산업의 위상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정부와 전기차 업계 등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오는 2020년 10분 충전에 320㎞까지 주행 가능한 전기차 인프라를 조성하겠다는 비전을 내놓았다. 미국 정부는 특히 자동차가 장시간 머무는 곳이 소유자의 주택과 직장인 만큼 직장에서 편리하게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전기차 충전시설 설립을 지원하기 위해 45억달러(약 5조원) 규모의 지급보증 제도도 마련하기로 했다. 독일도 전기차 지원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4월 독일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으로 12억유로(약 1조5,500억원)를 지급하기로 한 데 이어 다임러벤츠는 앞으로 2년간 전기차에 8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중국도 파격적인 전기차육성책을 펴고 있고 네덜란드와 노르웨이는 2025년 이후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를 금지하기로 했다.


이런 노력은 전기차 판매에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20만3,000대(EV세일스 집계)의 전기차를 팔아 미국(11만 5,000대)을 따돌렸다. 우리가 같은 기간 3,000대 판매에 그친 것을 보면 격차가 현격하다. 일본도 우리의 8배인 2만5,000대를 팔았다. 업체별로 봐도 1위는 중국이다. 중국의 비야디(BYD)는 지난해 6만1,726대를 팔아 5만여대를 판매한 미국 테슬라를 제쳤다. 특히 BYD는 최근 삼성전자로부터 5,000억원의 지분투자를 받기로 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관련기사



비상이 걸린 우리 정부도 최근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2020년까지 전기차 20만대를 수출하는 등 전기차를 우리 경제의 주력 수출품목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여기에는 충전요금을 절반으로 깎고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1,200만원에서 1,400만원으로 상향하는 등 전기차 수요를 늘리기 위한 방안이 담겼다. 특히 앞으로 4년간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2배로 끌어올려 기존 1회 충전 주행거리(191㎞)의 2배 이상인 400㎞로 늘리고 서울·제주에 2㎞당 1기의 공공 급속충전기를 설치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뒤늦은 감이 있지만 이 같은 대책을 마련한 것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다만 아직 세부적으로 가다듬어야 할 대책이 적지 않다고 조언한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전기차를 수리할 인력이 없어 제주도청으로 고장 난 차를 몰고 오는 웃지 못할 사례마저 발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미국의 경우 현재 수리 전문인력만 3,000명인데 추가로 전문가 1만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을 하고 있다”며 “(우리도) 이런 점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철환 이노싱크컨설팅 상무는 “야간에 충전하고 에너지 소모가 가장 많은 주간에는 전기차를 방전(전기차가 저장한 에너지를 전력망으로 되돌려주는 기술)하는 방향으로, 또 가정과 직장에서 충전할 수 있는 쪽으로 인프라 정책을 손봐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