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서 '국숫집 카르텔' 논란…온라인 찬반 토론까지

국수가게 개업직후 거센 폐업 압박…가족살해 위협도

논란의 하소연 글, 인터넷 조회 4억건 넘어

일명 ‘국숫집 카르텔’로 가게 개업후 몸살을 앓은 한 중국 남자의 사연이 알려져 화제다./출처=구글일명 ‘국숫집 카르텔’로 가게 개업후 몸살을 앓은 한 중국 남자의 사연이 알려져 화제다./출처=구글


중국 간쑤(甘肅) 성 출신의 후이(回)족인 셴궈린(咸國林)은 최근 상하이(上海) 번화가 난징로에 국수가게를 개업했다가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

26일 BBC방송에 따르면 셴궈린이 개업한 후이족 전통 소고기국수 가게가 현지 후이족 간의 이른바 ‘산간닝 조약’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현지에서 폐업압박에 살해위협까지 받았다. ‘산간닝 조약’은 일종의 ‘국숫집 카르텔’로, 무슬림 후이족은 기존 국수가게 반경 400m 내에 다른 국수가게를 내서는 안된다는 약속이다.

셴은 전 재산을 털고 은행 대출까지 받아 150만 위안(2억5,000만원)을 들여 가게를 개업했으나 그들은 폐업 조건으로 30만 위안(5,100만원) 제공을 제의했고 셴은 결국 폐업을 거부했다. 이에 인근 후이족 100여 명이 셴의 가게에 몰려와 종업원들을 협박하고 욕설을 퍼부으며 고객의 출입을 막았다. 가족살해 협박까지 하면서 영업을 방해하기를 계속하자 셴의 가게는 하루 4,500위안(76만 5,000원)의 영업 손해가 났다.


‘국숫집 카르텔’은 법적 효력은 없지만 무슬림 국수가게들은 이를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 폐업 요구 가게 주인들의 논리다. 국수가게들의 화합과 안정을 위해 조약 준수가 필수적이며 그렇지 않으면 조약 파기 도미노 현상이 발생해 후이족 모두가 생계에 위협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후이족들의 횡포에 견디다 못한 셴은 웨이보에 하소연하는 글을 사진과 함께 올렸고, 해당 글은 조회 수가 4억 건, 댓글은 9만여 개가 달리는 등 누리꾼들의 폭발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댓글은 찬반양론이 있었지만 셴의 영업을 지지하는 글이 많았다. 셴에게 폭력을 행사한 후이족들에게는 “이곳은 상하이이지 이슬람교 영토가 아니다”, “‘국수 마피아’ 같이 행동하지 마라”라는 비난이 잇따랐다.

현지 당국은 결국 셴의 국수 가게의 ‘아리란(阿里蘭) 뉴로우 라멘관(拉麵館)’ 간판에서 가운데 있는 뉴로우를 삭제하고 영업을 계속하도록 조치했다. 한편 논란 이후 셴의 국수 가게는 인터넷 논란 덕분에 예상치 못한 유명세를 탔고 손님이 몰려 북새통을 이뤘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