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보령호·고파도 폐염전, 역간척 사업 대상지로 선정

충남도, 연안 생태복원 사업 추진

보령호와 서산 고파도 폐염전을 대상으로 ‘역간척’ 사업이 추진된다.


충남도는 27일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생태복원 시범사업 대상지로 보령호와 고파도 폐염전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생태복원 ‘시험대’에 오를 보령호는 ‘홍보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991년부터 6년간의 공사를 거쳐 조성된 인공 하구호로, 보령 오천면과 천북면을 잇는 방조제의 길이는 1,082m에 달하며 수면 면적은 582만㎡이며 보령시 오천면과 천북면, 청소면, 홍성군 은하면 등 2개 시·군 4개 면에 걸쳐 있다.

보령호가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것은 지난 1997년 10월 최종 물막이가 이뤄진 이후 수질 악화로 담수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대단위 축사 등 오염원이 인근 홍성과 보령에 산재해 보령호의 현재 수질은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는 6등급이다.

또 해수 유통 차단으로 갯벌 면적이 크게 줄고, 이로 인해 어족 자원 역시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충남도는 보령호 복원을 3단계로 추진한다. 1단계에는 보령호 배수갑문 부분 및 완전 개방을 통한 해수 순환으로 수질 및 생태 환경을 개선한다. 배수갑문 개방으로 해수가 순환되면 보령호 수질은 2등급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2단계에서는 갯벌 복원, 물 순환 갯골 및 염습지 조성, 어류·조류 서식처 조성 등을 통해 생물 다양성을 확보한다. 3단계로는 생태탐방로와 갯벌 생태공원, 갯벌 체험 공간, 생태관광 기반시설 등을 조성하고 생태관광 프로그램도 개발한다.

서산시 팔봉면 가로림만내 위치한 고파도 폐염전은 1940년대 방조제 건설로 바닷물이 차단돼 1960년대 염전으로 이용되고, 2000년대 들어 양어장으로 활용되다 현재는 방치되고 있다.

고파도 폐염전 복원을 위해 폐양어장·폐염전 복원을 통한 생태복원과 생태자원 확보를 통한 생태관광 활성화 사업이 추진된다.

갯벌 복원과 염습지 조성, 수문 확장 및 교량 조성, 사구 식생 복원 및 모래 포집기 설치 등 생태환경 개선 및 생물 다양성 증진 사업을 통해 생태관광 활성화를 견인한다는 복안이다.

충남도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물을 토대로 하구 복원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중앙정부 제안 등 후속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이번 연구용역은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에 대한 인식 전환과 전국 확대 계기를 마련하고 하구 보전 및 활용을 위한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