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중국이 넘보지 못하는 기술 개발하려면 국가, 지자체 차원 적극 지원 필요

김규환 새누리당 의원





“중국이 넘보지 못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인재들이 국내에 많이 나와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규 교육 커리큘럼에 발명교육을 의무적으로 포함시켜야 합니다.”

김규환(사진) 새누리당 의원은 27일 여의도 국회의원실에서 가진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전자 분야에서 중국에 추격을 허용하며 중소업체 등 국내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인재들을 육성해야 한다”며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를 키우는 데는 발명교육이 가장 적격이며 유치원부터 초·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발명교육을 반드시 포함시키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당선된 김규환 의원은 대우중공업 등 대기업에서 근무하며 국가품질명장에 선정된 기술 장인이다. 산업 현장에 있을 때부터 후배들에게 발명의 중요성을 강조해 온 김 의원은 국회에 입성한 후 처음으로 발명교육 의무화, 발명교육개발원 설치 등의 내용이 담긴 ‘발명교육 활성화지원법’을 8월 중에 발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김 의원은 “그 동안 특허청에서 발명교육 지원 프로그램과 발명·특성화고 등을 운영했는데 이번 법안을 통해 발명교육 의무화를 아예 법제화하려는 것”이라며 “법이 통과되면 교육부, 특허청과 등과 협의해 구체적인 커리큘럼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발명교육 의무화와 함께 청년명장육성, 한국마이스트칼리지 설립, 대한민국 국회 발명대전 개최를 4대 의정목표로 삼고 열심히 활동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