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대협 “화해와 치유재단 설립 중단해야”

“피해자 동의 없는 재단 설립은 정치적 폭력행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정기 수요집회를 통해 위안부 재단 ‘화해와 치유재단’ 설립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면서 재단 설립 중단을 촉구했다.

정대협은 27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1241차 수요집회’에서 화해와 치유재단 설립은 당장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화해와 치유재단은 지난해 12월 한·일 양국 정부가 체결한 합의에 따라 일본 정부가 10억엔(한화 약 1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해 조성되며 오는 28일 공식 출범 예정이다. 정대협을 비롯한 일부 시민단체들은 일본정부의 공식사과와 법적인 배상이 빠진 합의라며 전면 무효화를 요구해왔다.

관련기사



1241차 수요집회를 주관한 전국공무원노조의 권재순 서울본부 성평등위원장은 “피해자 동의도 없이 추진하는 화해와 치유재단 설립은 굴욕적인 합의를 공식 인정하는 것이다”라며 “재단 설립은 피해자들에게 정치적 폭력행위를 가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정대협은 앞서 지난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해와 치유재단 발족식에 위안부 피해자들을 동원하려 한 정부의 행태를 규탄하며 재단 설립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