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슬기 잡으려다, 사람 잡는다"

장마로 수위 높아진 하천 함정 투성이

겉보기에 잔잔하다고 함부로 들어가는 것, '무모한 행위'

장마로 수위가 상승한 상태로 하천서 다슬기를 잡다가 물에 빠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출처=연합뉴스장마로 수위가 상승한 상태로 하천서 다슬기를 잡다가 물에 빠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출처=연합뉴스


최근 하천서 다슬기를 잡다가 목숨을 잃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다슬기는 대게 수심이 얕은 여울 등에 흔하기 때문에 초보자라도 물안경 등 간단한 장비만 갖추면 하천 바닥을 더듬어 쉽게 채취할 수 있지만, 최근 장마로 수위가 상승한 하천은 곳곳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절벽이나 큰 바위 주변 등에서 갑자기 물살이 세지거나 수심이 깊어 다슬기 잡이에 몰두하다 보면 자칫 움푹 팬 바닥을 밟아 몸의 중심을 잃거나 급류에 휩쓸리기 십상이다. 이끼가 낀 돌을 밟았다가 순식간에 미끄러져 위험에 빠질 수도 있다.

지난 26일 오후 10시 20분께 충북 영동군 매곡면 옥전리 초강천에서는 부인과 함께 피서를 찾아와 다슬기를 잡던 김모(66)씨가 물에 빠져 숨졌다. 부인으로부터 “다슬기를 잡으러 간 남편이 보이지 않는다”는 신고를 받은 경찰과 119구조대는 2시간여 만에 김씨의 시신을 인양했다.


하루 전날인 지난 25일 오후 10시께는 인접한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 초강천에서 다슬기를 잡던 김모(73·여)씨가 물이 가득 고인 보 옆에 고립돼 있다가 주민에게 구조됐다. 김씨를 구조한 권모(56·여)씨 일행은 “보 쪽에서 누군가를 부르는 소리가 들려 다가가 보니 칠흑 같은 어둠 속에 할머니가 웅크리고 있었다”며 “다행히 보가 깊지 않아 할머니를 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경찰은 “아무리 얕은 하천이라도 기력 없는 노인에게 위험할 수 있다”며 “얼핏봐선 물살이 잔잔해 방심하지만, 막상 물 속에는 수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또 “수중 상황은 겉보기와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물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 같은 보호장구를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다.

충북소방본부 주영국 구조팀장은 “낮에도 주의하지 않는다면 위험하지만 특히 야행성인 다슬기를 채취하기 위해 밤에 혼자 강이나 하천에 들어가면 안된다”며 “무엇보다 나이 든 노인은 어두운 곳에서 수평감각이 떨어져 낮은 물에서도 몸의 균형을 잃기 쉽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아무리 얕은 곳이라도 일행과 떨어지거나 술을 마신 상태로 물에 들어가는 것도 위험을 자처하는 행위”라고 덧붙였다.

다슬기./출처=연합뉴스다슬기./출처=연합뉴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