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골프존, 가맹사업 놓고 한국시뮬레이션골프문화협회와 갈등

스크린골프 사업자들 가맹사업 조건 개선 촉구

연대성(오른쪽 네번째) 한국시뮬레이션골프문화협회 회장을 비롯한 골프존 회원사 대표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골프존의 가맹사업에 대한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백주연기자연대성(오른쪽 네번째) 한국시뮬레이션골프문화협회 회장을 비롯한 골프존 회원사 대표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골프존의 가맹사업에 대한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백주연기자




골프존(121440)과 한국시뮬레이션골프문화협회가 가맹사업 조건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면서 갈등을 빚고 있다.

한국시뮬레이션골프문화협회와 김경진 국민의당 국회의원은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골프존이 추진하는 가맹전환 사업의 불공정성을 지적하며 기존 사업자와의 상생을 촉구했다.


지난해 12월 골프존은 기존 사업주의 생존권을 보장하고 영업환경을 개선할 목적으로 가맹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8개월간 진행된 가맹사업 준비과정에서 사업주들과 의견이 엇갈리면서 전국적으로 골프존 사업주들의 집회와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연대성 한국시뮬레이션골프문화협회 회장은 “골프존은 가맹사업을 위해 지난해 12월 말부터 전국 스크린골프장 사업자 단체와 10여 차례 진행한 간담회에서 합의한 상권보호 정책 등 영업권 보장에 대한 내용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며 “오히려 매장 내 빔프로젝트나 포스단말기 같은 소모품마저 골프존의 제휴업체를 통해 구매하라고 강요했다”고 규탄했다. 연 회장은 “특히 골프존 사업자에게 과도한 사용료와 교육비를 요구하고 콘텐츠 이용료를 전가했으며 애프터서비스(AS) 등 유지보수비를 인상해 강제로 적용함으로써 자사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김경진 의원은 “현재 전국에 5,000여 명의 자영업자가 골프존의 시스템을 이용해 사업을 하고 있으며 지방 산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도심은 업종의 과밀화로 가격경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골프존은 이러한 영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가맹사업을 추진한다고 했으나 현재 그 내용을 확인한 결과 사업장 간 거리가 100m도 보장이 안 된 채 가맹사업이 운영되고 있다”고 문제점을 제기했다.

골프존은 이 같은 주장이 사실과 다르라고 반박했다. 골프존 관계자는 “가맹사업은 본질적으로 통일성과 서비스 표준화가 사업의 중요한 목표”라며 “시설이나 소모품을 강제로 구매하도록 하지 않았고 사용료와 유지보수비는 가맹점 전용 네트워크와 상표, 상호, 서비스표, 휘장 등을 유지하고 개발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라고 설명했다.

골프존은 국내 스크린골프업계 1위 업체로 골프시뮬레이터와 콘텐츠를 개발하고 서비스하고 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