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지카 '감염차단 항체' 발견…치료제 개발 길 열리나

지카 무력화하고 감염 차단하는 항체 발견돼

정확한 진단법, 효과적 백신·치료제 개발 희망 생겨

성숙 지카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서 이뤄진 3종의 지카 바이러스 항원 결정부(epitope) 분포상을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통해 포착한 이미지./출처=학술지 세포(Cell) 논문성숙 지카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서 이뤄진 3종의 지카 바이러스 항원 결정부(epitope) 분포상을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통해 포착한 이미지./출처=학술지 세포(Cell) 논문


체내에서 지카바이러스만을 찾아내 무력화함으로써 감염을 차단하는 항체들이 발견됐다.

29일(현지시간) 과학전문지 유레크앨러트 등에 따르면, 미국 세인트루이스 소재 워싱턴대학교 의대 연구팀이 지카바이러스에 잘 감염되도록 만든 쥐의 몸에서 지카바이러스라는 항원을 정확하게 인식해 결합한 뒤 무력화하는 항체 6종을 발견했다. 이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을 정밀 진단하는 검사법과 예방하는 백신은 물론 나아가 치료제까지 개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다.


연구팀 보고에 따르면 발견한 항체 6종 가운데 4종은 실험관 세포 차원에서는 물론 쥐 생체에서도 지카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는 능력을 지닌 것이 확인됐다. 이 항원들은 지카와 유사한 뎅기열 바이러스 등은 정확하게 구별하고 결합하지 않았으며 특히 지카바이러스라면 현재 중남미에서 창궐하는 미주 변종이든 아프리카와 아시아 변종이든 가리지 않고 모두 인식해 무력화했다. 이는 기존 진단법들이 유사 바이러스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한 치료제의 개발을 시사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아울러 방어능력이 가장 강한 항체 2개가 살아있는 바이러스 전체가 아니라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의 특정 지점에서 결합한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통상 백신은 살아있는 사이러스의 힘을 약화시켜 만든다. 백신을 맞으면 건강한 일반인은 가벼운 증상만 앓거나 아무 증상 없이 체내에 항체가 생겨 면역력을 갖게 되지만, 임신부의 경우 면역체계가 약화돼 진짜 감영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크다. 그러나 해당 치료제는 바이러스 전체가 아닌 외피 단백질 부분만을 이용하기에 임신부도 사용 가능한 백신을 만들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팀을 이끈 데이브드 프레몬트 교수는 추후 시험과 연구들 해봐야 알겠지만 이 항체들과 바이러스 외피단백질을 이용한 지카 바이러스 백신과 치료제의 경우 임신부와 병약자 등 고위험군에도 사용할 수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항체들은 쥐에서 얻은 것이지만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는 항체를 만드는 일도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