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현각 스님 “기복=돈, 외국인 스님=장식품, 한국 불교 떠난다”

현각 스님 “기복=돈, 외국인 스님=장식품, 한국 불교 떠난다”현각 스님 “기복=돈, 외국인 스님=장식품, 한국 불교 떠난다”




현각 스님이 조계종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한국을 떠나겠다는 뜻을 전했다.


현각 스님은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는 8월 중순에 한국을 마지막으로 공식 방문한다”며 “화계사로 가서 은사 스님(숭산 스님)의 부도탑에 참배하고 지방 행사에 참석한 뒤 한국을 떠날 준비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서울대가 영입한 외국인 교수들이 줄줄이 한국을 떠난다는 내용의 기사를 인용하며 “이 사람들의 마음을 100% 이해하고 동감한다”며 “나도 자연스럽게 떠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주한 외국인 스님들은 오르지 조계종의 ‘데커레이션’(장식품)”이라며 “이게 내 25년간 경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숭산 스님께서 45년 전에 한국불교를 위해 새 문을 열었다. 나와 100여 명 외국인 출가자들이 그 포용하는 대문으로 들어왔다. 참 넓고 현대인들에게 딱 맞는 정신이었다”면서 “그런데 종단이 그 문을 자꾸 좁게 만들어 지난 2∼3년간 7∼9명 외국인 승려들이 환속했고, 나도 요새는 내 유럽 상좌(제자)들에게 조계종 출가 생활을 절대로 권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현각 스님은 “내가 어떻게 조선시대 정신에나 어울리는 교육으로 합리주의 바탕에서 자란 서양 사람들(특히 서양 여자들)을 보낼 수 있을까?”라고 물으며 “대신 난 신심 있는 애들을 계룡산으로나 유명한 일본 선방으로 보낸다”고 비판했다.

또한 “숭산 스님이 세운 혁명적인 화계사 국제선원을 완전히 해체시켰다”며 “한국 선불교를 전 세계에 전파했던, 누구나 자기 본 성품을 볼 수 있는 열린 그 자리를 기복 종교로 귀복시켰다. 왜냐하면 ‘기복 = $(돈)’”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현각 스님은 예일대, 하버드 대학원 출신으로 1990년 대학원 재학 시절 숭산 스님의 설법을 듣고 1992년 출가했으며 수련생활을 하다 2001년 8월 하계사에서 숭산 스님으로부터 공식 인가를 받았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