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2野 김영란법 온도차

더민주 "일단 정부에 맡기자"

국민의당 "소비위축…개정을"

헌법재판소가 ‘부정청탁 및 금품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을 합헌으로 결정한 것을 두고 두 야당은 온도 차를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단 시행 과정을 정부에 맡기자는 입장인 반면 국민의당은 소비위축을 우려하며 적극적인 개정을 주문했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헌법재판소가 전날 합헌결정을 내린 김영란법과 관련해 “합헌이라고 했으니 그 자체는 이제 건드릴 수 없게 됐다”고 29일 말했다.

관련기사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하면서 “일반 상식으로 생각해 시행령이 (식사·선물비 등의 제한) 금액을 정하도록 돼 있으니 행정부가 그 부분들에 대해 현실참작을 하면 그래도 무엇이 현실적으로 가장 적정한지 생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본적으로 헌재의 판단을 존중하되 향후 정부가 시행령을 통해 현실에 맞게 운용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의당도 기본적으로는 헌재 결정을 환영했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우리나라의 반부패 투명지수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계기를 맞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박 비대위원장은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는 상태에서 소비위축으로 직접 타격을 입을 것을 우려하는 농어민들의 시름 또한 깊어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농축수산물의 명절 수요 감소 등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이런 농어민들의 우려를 헤아려 김영란법 시행령과 관련해 현명하게 판단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현재 국회에는 농어촌 지역구 의원들을 중심으로 김영란법의 수수금지 품목에서 농축수산물을 제외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연이어 발의된 상태다. /김광수기자 bright@sedaily.com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