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뉴 비즈니스 담대한 도전] 금호석유화학 "고성능 타이어 등 초일류제품 20개로"

합성고무·디스플레이 부문

2020년까지 신제품 개발

금호석유화학 아산전자소재연구소에서 한 연구원이 디스플레이 소재를 검사하고 있다. /사진제공=금호석유화학금호석유화학 아산전자소재연구소에서 한 연구원이 디스플레이 소재를 검사하고 있다. /사진제공=금호석유화학






금호석유화학은 현재 12개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 초일류 제품을 오는 2020년까지 20개로 늘린다는 청사진 아래 주력제품 경쟁력 강화와 신제품 발굴에 연구개발(R&D)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합성고무와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반드시 성과를 낸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전 임직원이 신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금호석화의 합성고무 사업은 크게 나눠 △고성능 타이어와 △라텍스 장갑 △내후성 플라스틱 △탄소나노튜브 등 4개 제품군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먼저 고성능 타이어 시장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이 회사가 강점을 갖고 있는 ‘합성고무 DNA’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을 만들어낸다는 각오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주원료가 되는 고기능성 합성고무인 ‘솔루션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SBR)’ 제품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인정 받는 고성능 타이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회전저항력과 노면접지력 등에서 타이어효율등급제가 요구하는 연비와 안전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금호석화는 타이어 브랜드들이 요구하는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4세대 SSBR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충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중국이 유럽연합(EU)과 일본, 한국에 이어 타이어효율등급제를 시범 도입하면서 R&D 역시 한층 속도를 높이고 있다.


장갑 또한 또 다른 성장 시장으로 꼽힌다. 금호석화는 고형 합성고무 외에도 액상의 합성라텍스 제품군에서도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금호석유화학은 인장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합성라텍스 ‘NB라텍스’ 품질 개선에 성공해 사용처를 기존의 의료용 장갑 소재에서 산업용 라텍스 장갑으로 범위를 넓혔다. 산업용 라텍스 장갑은 우수한 내마모성·내화학성을 바탕으로 자동차, 금속, 화학 관련 산업에 필수적인 안전장비로 사용돼 향후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다는 게 이 회사 경영진의 판단이다.

관련기사



온도와 습도 변화에 잘 견디는 내후성 플라스틱 소재의 고무 특성을 강화시키는 연구도 금호석화가 집중하고 있는 분야다. 이 회사는 현재 고무 함량이 높아 강도와 탄성 밸런스가 좋은 ‘ASA 수지’를 건축 외장재 및 자동차용 컴파운딩 소재로 개발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ASA 수지는 자외선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고 착색이 쉬워 건축 외장재로 그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금호석화 관계자는 “앞으로 ASA수지가 중국 및 북미에서 내후성이 우수한 고가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시장과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지만 착색성이 부족한 폴리염화비닐(PVC) 시장을 대체해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탄소나노튜브(CNT)를 응용한 복합소재 개발도 비장의 무기로 준비하고 있다. 금호석화 연구소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합성고무 ‘NBR’에 CNT를 접목시켜 기존 카본필러 대비 우수한 내화학성과 전기전도도를 발현하는 프린터 롤러용 복합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CNT를 사용하면 기존 카본블랙보다 적은 양으로도 고품질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금호석화는 올해 초 열린 ‘2016 도쿄 나노테크’에서 CNT 복합소재 신제품 17종을 선보이는 등 관련 연구에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미래 성장 4개 제품군에 더해 전자소재 분야에 대한 R&D도 확대하고 있다. 전자소재 부문은 금호석화가 물밑에서 조용하게 내실을 갖추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꼽힌다. 금호석화는 올해 전자소재연구소에 디스플레이 소재 연구를 전담하는 소재연구3팀을 신설하면서 관련 분야 진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현재 신설 연구팀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용 접착제로 쓰이는 ‘실란트(Sealant)’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실란트는 디스플레이 패널 공정에 컬러 필터 기판과 TFT 기판을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로써 액정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액정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점점 얇아지는 디스플레이 가장자리에 최적화된 ‘내로우 베젤(Narrow Bezel) 실란트’와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적용 가능한 소재 등도 개발 중이다. 금호석화는 지난 2012년 국내 최초로 액정표시장치(LCD) 중소형 실란트 양산에 성공한 바 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