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더 나은 기회 찾기 위해" 탈북자 올해들어 급증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엘리트층의 탈북이 크게 늘면서 김정은 체제가 불안해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일 통일부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지난달 말까지 입국한 탈북민은 815명(잠정치)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5.6% 늘어났다. 2011년 말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탈북민 수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2009년 2,914명까지 늘었던 탈북민의 수는 2011년 2,706명, 2012년 1,502명, 2013년 1,514명, 2014년 1,397명, 지난해 1,276명으로 줄어드는 추세였다. 하지만 최근 북한 내 엘리트층의 탈북도 급증하면서 김정은 체제 불안요소가 커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NKDB) 소장은 “탈북민 면접조사 결과를 보면 북한에 있을 때 생활 수준이 중상층 이상이었다는 답변의 비율이 몇 년 전부터 상승하고 있었다”며 “최근에는 엘리트층의 탈북이 늘어나면서 중상층 이상이라는 답변 비율이 더 올라갔다”고 밝혔다.


윤 소장은 “특히 해외파견 인력의 탈북 사례는 과거에는 연간 1~2명 수준이었는데 올해 들어 확 늘었다”며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올해 입국한 북한 해외파견 인력은 수십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내 엘리트층인 이들 ‘외화벌이 일꾼’은 대북제재 이후 본국 상납금 부담이 커지자 탈북을 감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소장은 이와 관련해 “북한 내 달러 사정이 좋지 않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정부 당국자는 최근 탈북 추세와 관련해 “더 나은 삶의 기회를 찾아, 더 잘 살기 위해 탈북하는 사람들이 과거에 비해 많아졌다”며 “물론 아직도 탈북민의 50%는 경제적 어려움을 탈북의 이유로 꼽고 있지만, 더 나은 기회를 찾기 위해서라는 답변도 20%까지 상승했다”고 말했다.

최근 탈북민 증가세를 고려할 때 국내 거주 탈북민의 수는 올해 10월 혹은 11월께 3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미디어부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