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주택담보대출 비수기 7월에도 급증

6대 은행 7월 잔액 전월 대비 4조2.000억 늘어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비수기인 7월에도 급증했다. 치솟는 전셋값 때문에 집을 사려는 수요가 늘어난데다 올 들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집단대출 또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2일 금융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6대 은행의 7월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367조5,165억원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4조2,018억원 증가했다. 지난 2010년 이후 7월 증가분으로는 최대치이며 올 들어 월간 기준으로도 최대 증가폭이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비수기인 7월에 주택담보대출이 4조원 넘게 급증한 것이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6월의 증가액 4조84억원을 더하면 최근 두 달 사이에만 8조원 넘게 증가해 부동산 시장의 전통적 비수기 개념이 사라졌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정부가 지난 2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수도권에 적용한 데 이어 5월부터는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실수요자 중심의 아파트 거래량 증가가 대출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아파트 거래 건수는 1만4,031건으로 2006년 정부가 거래량을 조사한 이래 7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이 때문에 7월 주택매매가격은 전달 대비 0.54% 뛰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강세로 현재 재건축이 진행 중인 단지 외에도 향후 재건축 추진이 예상되는 단지에 투자용 수요가 몰린 것 또한 거래량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여신 심사 가이드라인에서 제외된 집단대출의 계속되는 증가세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80%에 육박하는 ‘깡통전세’에 대한 우려 등이 대출 시장 활성화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