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영란법' 맞춤상품 속속 등장...'3만원대' 상품 구성이

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요식업계 등이 맞춤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요식업계 등이 맞춤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김영란법 (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유통·요식업계에서 맞춤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3일 요식업계에 따르면 대전의 한 소고깃집은 이달부터 김영란 세트를 만들어 판매를 시작했다. 미국산 소고기 300g과 소주(맥주) 2병, 식사를 포함해서 2만9,900원이다. 식사 접대 상한선인 3만원 턱밑까지 가격대를 맞춘 것.


메뉴를 고안한 식당 주인은 “한우로는 절대 가격대를 맞출 수가 없어 미국산 소고기를 중심으로 메뉴를 개발했다”며 “2만9,900원이라는 가격대를 보고 공무원이나 기업체 등에서 안심하고 식사를 하러 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 대형 백화점에서도 추석을 앞두고 미리 김영란법 대응에 들어갔다. 김영란법 시행은 올 추석 이후부터지만 심리적인 부담감에 저가 선물로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해 선제적으로 준비에 나선 것이다.

사과 선물세트는 세트당 15개에서 12개로 줄이고, 배는 12개에서 9개, 멜론 4개에서 3개로 줄인 상품을 내놓는다. 이렇게 하면 6만5,000원대 과일 상품 가격이 4만9,000원대로 떨어진다. 역시 선물 가격 상한선인 5만원보다 1,000원 적은 수준이다.


백화점 관계자는 5만원 미만 상품이 20%를 차지했다면 최대 40%까지 늘리기로 했다고 전했다. 특히 인기가 많은 과일류 선물세트의 5만원대 비중을 5%에서 15%로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또 가격대가 낮아서 상대적으로 인기가 예상되는 공산품과 소시지 선물세트의 비중도 확대할 방침이다.

그러나 논란이 되는 소고기를 포함한 육류 선물세트 대책은 여전히 고심 중이라고 관계자는 전했다. 소고기 선물세트는 김영란법 가격대에 맞추기가 사실상 불가능해 5만원 이하 선물구성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밖에도 서울의 한 호텔에서는 4만4,000원짜리 차와 와인 등으로 구성된 5만원 미만의 추석 선물상품 등을 새롭게 마련해두기도 했다.

백화점 한 관계자는 “김영란법 시행 전이긴 하지만 올 추석에 구성한 선물세트의 판매 추이를 지켜보고 내년 설 상품 구성에 적용할 계획”이라며 “청과를 중심으로 현재 바이어들이 산지를 직접 돌며 김영란법에 적용받지 않은 상품 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