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75년만에 시베리아 역병 '탄저병' 공포 재연?

러시아에서 75년만에 탄저병이 발생해 비상이 걸렸다 /출처= YTN 영상 캡쳐러시아에서 75년만에 탄저병이 발생해 비상이 걸렸다 /출처= YTN 영상 캡쳐


1941년 이후 자취를 감췄던 탄저병이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서 75년 만에 발생했다. 이미 수십 명이 감염돼 사망자까지 나온 상황이다.

1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면 시베리아 중북부의 한 마을에 탄저병이 발생해 12살 소년이 탄저병으로 숨졌고 20여 명이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지역의 순록 2,300여 마리도 떼 죽음을 당했다.


탄저균은 공기 중에 떠다니며 피부와 폐를 통해 전염된다. ‘시베리아 역병’이라 불리는 탄저병은 치사율이 70~80%에 이를 정도로 높다. 또한 얼어붙은 사람이나 동물의 사체에서 수백 년까지 살아남을 정도로 생존력도 강하다.

관련기사



탄저균이 75년 만에 다시 발생한 이유로 지구 온난화가 유력하다. 최근 몇 달 동안 30도를 웃도는 고온 현상이 이어지자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땅속에 묻혀있던 동물 사체 속 탄저균이 밖으로 나왔다는 분석이다.

이에 러시아 당국은 탄저병 발생 지역 주민 63명을 다른 곳으로 이주시키고 세균전 훈련을 받은 병력을 파견했다.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