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軍,육군, 北지뢰도발 1주기 DMZ 작전현장 공개…“도발하면 처절히 응징”

MDL 인근에 무인감시 장비 설치…철책 인근 수목 제거

3일 경기도 파주시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육군 1사단 수색대대 정교성 중사 팀이 수색 훈련을 하고 있다. 이날 육군은 DMZ 지뢰도발 1주년을 맞아 당시 작전을 주도했던 정교성 중사 팀의 훈련을 공개했다. /파주=연합뉴스3일 경기도 파주시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육군 1사단 수색대대 정교성 중사 팀이 수색 훈련을 하고 있다. 이날 육군은 DMZ 지뢰도발 1주년을 맞아 당시 작전을 주도했던 정교성 중사 팀의 훈련을 공개했다. /파주=연합뉴스




육군은 북한의 지뢰도발 1주기를 하루 앞둔 3일 비무장지대(DMZ)에서 펼쳐진 1사단 수색대대의 작전현장을 공개했다.


이날 작전현장에 투입된 1사단 수색대대의 DMZ 수색 7팀은 작년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당시 현장을 지휘했던 정교성(29) 중사의 인솔 아래 절제된 동작과 날카로운 눈매로 북한군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주시하면서 MDL 인근으로 전진했다. 이 팀은 북한의 지뢰도발 당시 긴박한 상황에서도 작전 수행 절차에 따라 적절하게 상황을 조치해 김정원·하재헌 중사(진급 예정) 등 부상 전우의 소중한 생명을 살렸다.

당시 통신관 임무를 수행했던 이형민 중사(진급예정)도 작전에 투입됐다. 정 중사와 이 중사를 제외하고 당시 작전에 참가했던 팀원은 대부분 전역했고, 김정원·하재헌 중사는 치료 후 국방부 직할부대로 소속을 옮겼다.


수색 7팀 8명은 DMZ 남방한계선 아래 철책 부근에서 섭씨 30도가 넘는 DMZ의 뙤약볕 아래서 북한군과 맞닥뜨리는 상황을 가정해 작전 훈련을 하며 굵은 땀방울을 흘렸다. 선두의 수색조장 조한결 하사가 적을 발견하자 수신호로 팀원들에게 상황을 알렸다. 팀원들은 신호와 함께 신속하게 몸을 숨겼다. 팀장인 정교성 중사는 개별 팀원에게 작전을 지시했다.

관련기사



정 중사의 지시에 따라 지휘조가 먼저 엄호사격으로 적을 고립시킨 가운데, 수색조가 우회해 기동했다. 이어 수색조가 엄호사격을 하고, 지휘조가 기동을 하는 방식으로 작전이 펼쳐졌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적에게 근접해 수색조와 지휘조가 일제히 제압 사격을 가해 적을 모두 격멸했다.

정 중사는 “평소 팀원들에게 팀원 스스로가 팀장이라고 가정하고 구체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하면 되는지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주지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정 중사의 수색 7팀은 매일 이런 훈련을 반복해 조건반사적으로 몸이 반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육군 관계자는 “정 중사는 동료와 후배로부터 가장 원칙적이고 혹독한 조련자로 정평이 나 있다”며 “지난해 목함지뢰가 폭발한 긴박한 상황에서도 팀원들이 군인정신과 전우애를 발휘해 신속하게 부상 전우를 안전하게 후송한 것도 정 중사가 평소에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훈련을 시킨 결과”라고 말했다.

한편 육군 1사단은 지난해 8월 4일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이후 DMZ 인근에서 북한군 동향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는 무인감시 시스템인 과학화 경계 장비를 여러 대 설치, 운용하고 있다. GOP(일반전초)와 GP(비무장지대 내 초소) 인근의 숲 지대 등 지형적으로 잘 식별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없애고자 24시간 감시 가능한 무인경계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1사단 관계자는 “철책 인근의 수목을 제거하고 감시 장비를 추가 설치해 감시율을 높였다”며 “전방의 작은 움직임 하나라도 놓치지 않겠다는 결의 아래 공세적인 DMZ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파주=국방부공동취재단·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