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사면초가 빠진 '대우조선 살리기'...남은 1조 지원도 사실상 올스톱

서별관회의 논란 이어

전CEO 검찰수사 파장

산은 책임론까지 확산

채권단, 의사결정 부담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을 둘러싸고 산업은행이 책임론에 이어 전직 회장(CEO)에 대한 검찰 수사까지 휘말리면서 채권단이 대우조선에 지원하기로 한 4조2,000억원 중 잔여자금 1조원에 대한 집행조차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별관회의(비공개 거시경제정책협의회)의 투명성 시비에 이어 시작된 검찰의 전직 CEO에 대한 수사가 대상을 더욱 넓힐 수 있는 상황에서 채권단은 대우조선과 관련된 어떤 의사결정에도 극도의 부담감을 느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3일 채권단과 금융 당국에 따르면 채권단이 대우조선에 집행하기로 한 4조2,000억원 중 잔여분인 1조원에 대한 집행이 사실상 올스톱된 상태다. 지난 4월15일부로 3조2,000억원이 지원되고 1조원이 남아 있지만 채권단으로서는 이미 집행하기로 한 지원에 대해서도 엄두를 못 내고 있다.

채권단 고위관계자는 “대우조선 지원은 이미 지난해 말 다 정해진 사항이지만 야당 등 정치권에서 서별관회의의 의사결정까지 문제 삼고 있고 전직 산은 회장까지 수사를 받는 마당에 채권단이 단독으로 어떤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겠느냐”면서 “하기로 했던 지원도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대우조선에 대한 기존 지원안 집행조차 머뭇거리는 것은 지금 분위기에서 대우조선과 관련된 어떤 결정도 할 수 없을 정도의 부담감 때문이다. 대우조선과 STX조선 등 일련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산은에 대한 책임감이 불거진데다 이에 더해 방향성 없는 금융 당국과 검찰 조사까지 더해지면서 채권단으로서는 사소한 의사결정도 내릴 수 없는 형편이다.

관련기사



특히 산은은 강만수 전 회장의 검찰 압수수색에 대해 “전직 수뇌부의 개인 비리에 대한 수사”라고 선을 그었지만 긴장한 모습이 역력하다. 강 전 회장의 혐의가 사실로 밝혀지면 그동안 대우조선에 대한 관리·감독 부실로 국한됐던 산은의 책임론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강 전 회장에 대한 수사가 민유성·홍기택 등 전직 CEO는 물론 당시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임직원으로 확대돼 ‘게이트’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아울러 국회 상임위원회 차원에서 열기로 한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청문회가 ‘청와대 서별관회의 청문회’ 논란으로 번지면서 이 역시 채권단에 부담이 되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서별관회의 청문회를 하면 4조2,000억원 추가 지원이라는 이미 결정된 사안에 대해서도 정당성 여부를 따지게 될 것인데 이런 형편에서 새로운 의사결정은 크든 작든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면서 “물리적으로 현업 부서에서도 청문회 등 정치권의 질의에 응답하면서 한편으로는 구조조정에 매진할 여건도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채권단은 대우조선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의 구조조정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구조조정을 둘러싸고 결국 결과론만으로 평가받는데다 산은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의 책임론으로 만신창이가 되면서 당장 채권단 내부에서도 구조조정에 대한 무력감이 확산되고 있다.

결국 채권단이 구조조정 과정에서 어떤 의사결정도 없이 지금과 같이 시간만 지체하게 되면 최대 피해자는 구조조정 기업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정상화 작업을 지원하는 것도, 안 하는 것도 아닌 시간만 끄는 지금의 분위기가 대우조선은 물론 구조조정 기업에 가장 큰 독이 될 것”이라며 “구조조정이 정쟁화돼 정상화 시간을 놓치면 더 망가지는 것은 기업”이라고 말했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