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원폭 2세 피해자 위한 쉼터에 단 6명만 입소가능?

원폭 2세 피해자들을 위한 쉼터가 개장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6명 밖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연이 알려져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연합뉴스원폭 2세 피해자들을 위한 쉼터가 개장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6명 밖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연이 알려져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연합뉴스


원폭 2세 피해자들을 위한 쉼터가 개장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쉼터에 6명 밖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연이 알려져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3일 연합뉴스는 2010년부터 국내 원폭 2세 피해자를 위한 심리 치유 서비스 등 활동을 해온 합천 평화의 집이 마련한 ‘한국 원폭 2세 환우 쉼터’가 오는 6일 개장을 앞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200㎡ 남짓한 1층 건물에 자리한 쉼터는 방 3개, 상담실 1개, 화장실 2개, 부엌·거실·응접실로 구성됐다.

정부 지원이나 기업 후원이 들어오지 않아, 수 년간 민간 후원자에게서 받은 5,000원, 1만원씩의 돈을 차곡차곡 모아 쉼터 조성에 8,000만원 가까이 들였다.

안타까운 사실은 1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는 원폭 2세 피해자 중 그들을 위한 쉼터에는 고작 6명밖에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오는 4일 원폭 2세 피해자로 시각 장애와 암을 앓는 2명이 먼저 입소하고 6일 공식 개소 이후 4명이 더 들어올 예정이다.


쉼터 규모상 수용할 수 있는 인원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합천 평화의 집은 질병이나 장애 정도 등을 고려, 혼자 생활이 어려워 도움이 시급한 원폭 2세 피해자 6명을 쉼터 입소자로 우선 선정했다며 향후 입소자를 늘릴 예정이지만 쉼터 규모상 10명까지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안재은 합천평화의집 총무팀장은 “다 갖춰서 하려면 못할 것 같아 일단 시작부터 하자는 마음”이라며 “쉼터 입소자들을 24시간 보살피는 게 목표지만 여건상 끝까지 책임지지 못하는 상황이 올까봐 가장 두렵다”고 우려했다.

원폭 2세 피해자 1,300여 명 가운데 합천에는 600여 명의 피해자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근 대구·부산 등 영남권에는 전체 피해자의 90% 가량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등록하지 않은 피해자들까지 포함하면 1만∼2만명은 될 것으로 평화의 집은 추정했다.

이에 대해 안재은 총무팀장은 “지난 5월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을 위한 특별법’이 통과됐지만 피해자 후손 지원문제는 빠져 있다”며 “원폭 2세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특별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남재 사무총장은 “원폭 2세 피해자들이 겪는 질병을 개인적 천형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며 “부득이하게 민간에서 먼저 나서게 됐지만 더 늦기 전에 정부의 지원, 사회의 관심이 절실하다”고 당부했다.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