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차기 내각 안정 극우 방점 '포스트 아베' 윤곽도 드러나

재무상 등 주축 각료들 유임

문부과학상 '우익' 마쓰노 발탁

방위상엔 핵심측근 이나다 앉혀

"차기 총리 키우기 의도" 분석속

당칙 바꿔 장기집권 가능성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3일 단행한 개각 및 자민당 간부 인사에서 아베 총리 장기집권 이후의 권력구도, 이른바 ‘포스트 아베’의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번 인사에서 요직에 기용된 아베 총리의 최측근 중진 의원들이 그의 ‘후계 카드’로 부상한 가운데 아베 총리가 자민당 당칙을 바꿔 오는 2020년 도쿄올림픽 이후까지 ‘9년 집권’의 실현에 나설 가능성도 짙어졌다.

이날 아베 총리는 당초 예정대로 3차 정권의 두 번째 개각을 단행했다.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핵심 각료들을 유임시키면서 보수우익 측근들을 기용하는 종전의 인사 스타일은 이번에도 되풀이됐다. 아소 다로 재무상과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 등 정권의 주축이 되는 각료들이 줄줄이 유임됐다. 측근으로 꼽히는 가토 가쓰노부 1억총활약담당상 등도 자리를 지켰다.


또 수정주의 역사관을 공유하는 이나다 도모미(사진 왼쪽) 전 자민당 정조회장을 방위상에, 마쓰노 히로카즈(오른쪽) 문부과학성 부대신을 문부과학상에 각각 발탁해 정권의 ‘극우 색깔’을 한층 강화했다.

관련기사



이번 인사를 계기로 2018년 9월 자민당 총재 임기가 끝나는 아베 총리의 후임 내지 임기 연장에 관한 논의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사히신문은 아베 총리가 핵심 측근인 이나다를 방위상에 발탁한 것은 그를 ‘후계 카드’로 지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베 정권의 장기 비전을 총괄하는 가토 역시 후계자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아베 총리가 2년 뒤 순순히 물러날지는 불투명하다. 이번 당 인사에서 아베 총리의 당 총재 3연임을 지지해온 니카이 도시히로가 간사장으로 선임된 것은 당칙을 개정해 2020년 올림픽 이후까지 아베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아베 총리는 일단 임기 연장설을 부인했다. 그는 이날 개각 발표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임기가 아직 2년이나 남았고 과제는 산적해 있다”며 “임기연장을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신경립기자 klsin@sedaily.com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