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반고 학생도 2학년 2학기부터 직업교육 받는다

일반고 학생도 2학년 2학기부터 원하는 시기에 직업교육 받을 수 있게 된다.


교육부는 4일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 후속조치로 지역 전문대학과 연계해 일반고 2학년 학생에게 원하는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직업교육은 3학년 1학기 때에만 1년 과정으로 받을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미리 진로를 결정한 학생도 진로교육을 받으려면 3학년까지 기다려야 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올해부터는 일반고 학생이 2학년 2학기, 3학년 1학기, 3학년 2학기 등 진로를 결정하는 시기에 원하는 형태의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학기부터 일반고 2학년 학생에게 시범 제공되는 위탁 직업교육은 5개 시·도에서 11개 전문대학, 총 20개 과정이 운영되고 400여명의 학생이 참여할 예정이다.


주요 참여 대학의 개설 과정을 보면 두원공과대는 스마트자동차 과정을, 영진전문대는 영상콘텐츠 제작 과정, 대경대는 조리와 관광크루즈, 울산과학대는 전자기기와 금형 등의 과정을 운영한다.

관련기사



또 2학년 위탁과정에서 전문대학의 노하우와 양질의 인프라를 활용한 높은 수준의 직업교육과 인성교육, 상담프로그램과 직업생활에서 활용도가 높은 실용수학·실용영어 교육도 제공한다.

2학년 과정 이수 후에는 학생들의 선취업 및 일학습병행, 고급숙련 기술습득을 위한 추가 과정 이수 등을 지원한다.

이밖에 고용노동부는 ‘일반고 특화 직업훈련 사업’을 통해 3학년 2학기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시범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3학년 2학기 일반고 직업교육 과정은 학사 일정 등을 감안해 2학기 중 89개 과정을 시범운영하고, 2,113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통해 찾은 꿈과 끼를 학생들이 고등학교에서도 키워나갈 수 있도록 고교 맞춤형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일반고 학생도 보다 일찍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양질의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