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울산 악취원인 '부취제와 공단' 결론...누가 어떻게는 '미궁'

민간합동조사단 조사결과 발표

부산은 부취제, 울산은 공단내 화학물질 때문으로 결론

가스업체 현장 탐문,CCTV 분석 불구 정확한 경로는 못밝혀

안전처 "가스누출 매뉴얼 보완...냄새 감지 장비 확충필요"

지난달 부산과 울산에서 발생한 악취의 원인은 연료가스에 주입되는 부취제와 울산공단내 화학물질로 밝혀졌다. 다만 부산 지역의 경우 부취제 누출 주체와 경로는 밝혀내지 못했다.

국민안전처는 지난달 21일부터 23일 부산과 울산지역에서 발생한 가스냄새 및 악취와 관련해 4일 ‘민간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단은 부산과 울산의 냄새는 서로 다른 물질로 부산이 경우 부취제 또는 부취제를 포함한 화학물질(폐기물)이 이동 중에 누출된 것으로 판단했다. 부취제는 무색무취한 연료가스에 안전을 위해 일부러 냄새가 나도록 첨가하는 가스다. 울산의 경우 화학공단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황, 황화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악취가 저기압과 더운 날씨 등 기상상황에 따라 확산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단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 원인물질은 저농도 단시간 누출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며 “특히 지진 전조현상 등 유언비어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부산 악취 대기확산 모델링분석(이동오염원)부산 악취 대기확산 모델링분석(이동오염원)


국민안전처, 화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8개기관 30명으로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현장조사, 자료분석및 확산시뮬레이션 실험 등을 통해 원인분석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가스시설및 위험물 취급시설을 합동점검하고 부취제 수입공급업체 9개소를 현장점검하고 냄새유발 의심차량 26대 CCTV를 분석 및 탐문조사했다.

부산의 경우 당일 256건이 신고됐고 냄새를 맡은 37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91%가 부취제 냄새와 유사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번 조사결과에서 정확히 어떤 업체와 어떤 차량이, 어떤 경로로 부취제를 누출했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김희겸 국민안전처 재난관리실장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관계부처와 함께 가스나 악취 등의 누출사고에 대한 매뉴얼을 보완하고 냄새 감지 및 포집 장비를 확충하는 등의 개선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