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제멸종위기종 샤망·스라소니 국내 동물원서 처음 태어나

서울대공원은 국제멸종위기종(CITE)인 샤망과 스라소니가 국내 최초로 대공원에서 번식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대공원에 따르면 CITE Ⅰ급인 샤망 새끼가 지난 6월 20일 대공원에서 태어났다.


‘샤망’은 긴팔원숭이류 중 가장 큰 종으로 주머니긴팔원숭이로도 불린다. 말레이반도와 수마트라가 주 서식지이며 목 아래 있는 공기주머니를 부풀려 특유의 중저음 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태어난 새끼 이름은 부모 이름 앞글자를 따 ‘샤샤’로 지었다. 샤샤의 부모인 샤넬(2007년생·암컷)은 2013년 체코동물원에서, 샤프(2009년생·수컷)는 2014년 프랑스에서 각각 서울로 이사와 부부가 됐다. 샤망의 임신 기간은 210일 정도로 한 번에 평균 1마리를 낳는다. 샤샤는 젖을 먹으며 엄마 품을 떠나지 않고 있다. 샤망은 2∼3살 정도까지 엄마 품을 떠나지 않는다. 샤샤는 동양관에서 관람이 가능하다.

이에 앞서 지난 4월 28일에는 대공원에서는 CITE Ⅱ급인 스라소니 새끼가 태어났다.


대공원은 2005년 북한 동물원에서 스라소니 암수 1쌍을 들여와 번식을 위해 노력했지만, 성과가 없어 2014년 체코동물원에서 암수 1쌍을 다시 들여왔다.

관련기사



체코동물원에서 온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스라소니 새끼는 3개월 정도 어미 젖을 먹었고, 지금은 닭고기와 소고기 등 육류를 먹으며 맹수의 자태를 갖춰가고 있다고 대공원은 설명했다.

동물원 측은 아빠 스라소니가 새끼를 해칠 우려가 있어 엄마가 혼자 아기 스라소니를 돌보게 했다고 전했다.

새끼 스라소니는 백신을 맞고 면역력을 키우는 중이다. 동물원은 이달 둘째 주쯤 새끼를 외부 방사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송천헌 서울대공원 원장은 “6월 말 아시아코끼리 탄생에 이어 멸종위기종이자 희귀 동물인 샤망과 스라소니가 출산하는 등 경사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런 경사를 멸종위기동물 보호를 위한 기회로 삼아 동물원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6월 20일 서울동물원에서 태어난 샤망 새끼 ‘샤샤’가 엄마 ‘샤넬’의 품에 안겨 있다. /사진제공=서울대공원지난 6월 20일 서울동물원에서 태어난 샤망 새끼 ‘샤샤’가 엄마 ‘샤넬’의 품에 안겨 있다. /사진제공=서울대공원




지난 4월 28일 서울동물원에서 태어난 새끼 스라소니. /사진제공=서울대공원지난 4월 28일 서울동물원에서 태어난 새끼 스라소니. /사진제공=서울대공원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