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비박 단일후보 주호영 확정...친박도 막판 세결집 나서나

이정현·이주영·한선교 입장달라

친박 단일화 가능성 높지 않지만

물밑 이정현 의원 지원 움직임도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인 주호영(오른쪽) 후보가  8·9 전당대회 당 대표 후보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승리했다. 5일 오후 충남 천안시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충청권 합동연설회를 마치고 정병국 후보가 주호영 후보로 단일화하겠다는 여론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포옹하고 있다. /천안=연합뉴스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인 주호영(오른쪽) 후보가 8·9 전당대회 당 대표 후보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승리했다. 5일 오후 충남 천안시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충청권 합동연설회를 마치고 정병국 후보가 주호영 후보로 단일화하겠다는 여론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포옹하고 있다. /천안=연합뉴스




새누리당의 8·9 전당대회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5일 비박계 단일후보로 주호영 의원이 결정되면서 친박계도 막판 세(勢) 결집에 나설지 초미의 관심이 쏠린다. 이정현·이주영·한선교 의원 등 범(汎)친박 후보 3인은 현재 각자 입장이 달라 단일화를 이루지 못할 가능성이 높지만 친박계는 “이대로 가면 당권을 내줄 수 있다”는 위기감에 물밑 결집을 통한 표심 지원에 나설 태세다.


비박계 주자로 당권 경쟁에 뛰어들었던 정병국·주호영 의원은 5일 오후 충남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3차 합동연설회가 끝난 후 여론조사를 통해 단일후보로 주 의원을 확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후보등록 전 정병국·김용태 의원의 1차 단일화에 이어 비박계가 김무성 전 대표를 비롯한 계파 차원의 거듭된 권유에 다시 한 번 힘을 뭉친 것이다. 주 의원은 “화합과 혁신으로 국민들에게 신뢰받는 새누리당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당원들과 국민들에게 이 간절함과 진정함을 호소하겠다”고 밝혔다.

남은 관심은 친박계의 맞대응 여부인데 현재로서는 단일화 가능성이 높지 않다. 이정현·이주영·한선교 의원이 범친박으로 분류되지만 친박 주류와 결이 다른데다 이주영·한선교 의원 등이 완주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주영 의원은 이날 합동연설회에서 “우리는 지금 2차 ‘단일화 쇼’를 함께 보고 있다. 오직 계파 승리만을 위한 대국민 막장 드라마”라며 “계파 단일화를 조종하는 ‘보이지 않는 손’은 누구냐”고 비판했다. ‘단일화 생각이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반면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기록하며 분위기가 고무된 이정현 의원은 “비박계 단일화로 상황이 달라진 만큼 여러 가지를 고려해봐야 하지 않겠나”라고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관련기사



비박계가 우여곡절 끝에 단일후보를 내면서 결국 당내 주류인 친박계의 표심이 승부를 가를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의 현역의원 중 강성·온건파를 포함한 친박은 70명 정도로 파악된다.

친박계 핵심인 한 의원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원래는 계파 내부적으로 이주영 의원을 지원할 조짐이 보였으나 당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 이정현 의원을 주시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고 전했다.

비박계는 수도권 출신의 정 의원과 대구경북(TK)을 기반으로 한 주 의원이 손을 잡으면서 상당한 파괴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총선 패배에 대한 친박 책임론이 여전히 거세게 일고 있는 상황에서 주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텃밭인 TK 표심을 역으로 흡수할 경우 단일후보 선정에 이어 당권장악이라는 대이변을 연출할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비박계의 바람일 뿐 정·주 의원의 단일화가 실제 선거 결과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당 핵심 관계자는 “단일화 여부에 상관 없이 당 주류는 친박계인 만큼 박근혜 정부의 안정적인 후반기 국정운영을 위해 세력을 뭉칠 경우 친박계가 당권을 가져올 수 있다”며 “이번만큼 마지막까지 결과를 예측하기 힘든 ‘깜깜이 선거’는 별로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