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공수기본교육' 55년 만에 800기 수료생 배출

1961년 7월 시작…수료생 21만명 넘어

5일 오전 경기도 광주시 특수전교육단에서 열린 ‘공수기본교육 800기 달성 강하 및 수료식’에서 역대 교관 및 특전부사관 후보생들이 낙하산으로 내려오고 있다. /연합뉴스5일 오전 경기도 광주시 특수전교육단에서 열린 ‘공수기본교육 800기 달성 강하 및 수료식’에서 역대 교관 및 특전부사관 후보생들이 낙하산으로 내려오고 있다. /연합뉴스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특수전교육단이 5일 낙하산을 이용한 강하훈련인 공수기본교육 800기 수료생들을 배출했다.


육군은 이날 “특수전교육단에서 공수기본교육 800기 교육생들이 훈련의 마지막 관문인 자격 강하를 모두 통과했다”고 밝혔다. 공수기본교육 800기는 특전부사관 후보생 222기와 육군사관학교 2학년 생도 등 모두 544명으로 구성됐다.

자격 강하훈련은 교육생들이 수송 헬기를 타고 2,400피트(730m) 상공에 올라 낙하산을 이용해 뛰어내리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공수기본교육은 특수전 임무 수행에 필수적인 공중침투능력을 배양하는 훈련으로 교육생들은 2주 동안 지상에서 강하 기본자세를 익히고 3주차에 4차례 자격 강하를 한다.

5일 오전 경기도 광주시 특수전교육단에서 열린 ‘공수기본교육 800기 달성 강하 및 수료식’에서 역대 교관 및 특전부사관 후보생들이 낙하산 강하 전 헬기에 앉아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연합뉴스5일 오전 경기도 광주시 특수전교육단에서 열린 ‘공수기본교육 800기 달성 강하 및 수료식’에서 역대 교관 및 특전부사관 후보생들이 낙하산 강하 전 헬기에 앉아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연합뉴스



우리 군의 공수기본교육은 지난 1961년 7월 특수전교육단 창설과 함께 시작됐다. 특수전교육단 창설 전에는 특전사의 전신인 제1전투단 공수교육대가 일본 오키나와 주둔 미 제1특전단 공수교육대에서 위탁 교육을 받는 방식으로 공수교육이 이뤄졌다.

관련기사



지난 55년 동안 특수전교육단에서 공수기본교육을 받은 장병은 모두 21만명을 넘는다. 1965년 8월에는 여군이 최초로 공수기본교육을 받았고 1965∼2004년에는 미국·태국·모로코 등의 외국군 장병 536명이 특수전교육단의 공수기본교육을 수료하기도 했다.

특수전교육단의 공수기본교육에는 육군 특전사뿐 아니라 특공·수색 부대, 해군 특수전전단, 해병대, 정보사령부, 청와대 경호실, 육사·3사 생도 등이 참가한다. 공수기본교육 자격 강하 4차례 가운데 2차례는 수송기가 아닌 대형 기구를 사용한다. 300m 상공의 기구에서 수직 강하할 때 느끼는 공포감은 수송기에서 뛰어내릴 때보다 큰 것으로 알려졌다.

특전요원들은 공수기본교육에 이어 3,000m 이상의 고도에서 뛰어내리는 ‘고공(HALO) 과정’과 병력·장비 강하훈련인 ‘탠덤 과정’으로 전문적인 공중침투기술을 숙달하게 된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