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빙과 상시할인 끝? 권장소비자가 표기 확산

빙과 4사 이달부터…소매점 납품가도 인상

실적 악화 이어지자 유통질서 바로잡기 나서

빙과업계가 이달부터 바 제품을 중심으로 일제히 권장소비자가 표기를 확대해 빙과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빙과시장은 2010년 유통업체가 판매가를 정하는 오픈 프라이스제 도입 이후 상시 할인이 특히 보편화돼 있어 파장이 주목된다.

7일 빙과업계에 따르면 롯데제과, 빙그레, 해태제과, 롯데푸드 등 빙과 4사는 이달부터 일제히 아이스바 제품에 권장소비자가를 표기하면서 일선 소매점에 대해서는 빙과류 납품단가를 조정했다.빙과 4사는 그동안 제품 가격이 유통 채널마다 지나치게 높거나 낮아 유통질서를 정상화하는 차원에서 납품가가 낮은 소매점은 올리고 높은 소매점은 내렸다고 밝혔지만 주로 납품가를 인상한 곳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빙과 4사가 이처럼 권장소비자가 표기 확대와 납품가 인상에 나선 것은 비정상적인 상시할인체제 고착으로 빙과시장이 왜곡되면서 갈수록 실적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빙과 4사의 지난달 매출은 전통적 성수기를 맞아 평년을 크게 웃도는 이례적 폭염으로 호조건이 형성됐는데도 작년 동기 대비 2~7% 하락했다.업계에서는 소비자가격표시가 안착되면 과도한 할인행사 등이 줄어들며 빙과류 전체 가격이 안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대폭 할인된 빙과제품을 미끼 상품으로 내세워 짭짤한 재미를 봐온 일선 유통업체들은 빙과 4사의 일방적 납품가 인상 조치에 반발하는 등 마찰도 빚어지고 있다. 서울 종로구의 슈퍼마켓 점주는 “개당 500원하던 아이스바를 갑자기 700원으로 올리면 소비자들이 어떻게 생각하겠느냐”며 “정상화도 좋지만 시장에 미칠 충격과 소비자 정서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빙과업계 관계자는 “커피 등 대체음료 시장이 커지고 출산율이 낮아지는 등의 외부적 여건 변화는 어쩔 수 없다고 치더라도 상시할인체제가 고착되다시피 한 왜곡된 유통구조를 바로잡는 것만으로도 실적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지윤기자 lucy@sedaily.com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