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역간선급행버스(BRT), 오송역까지 확대 운영한다

대전~세종~청주 광역간선급행버스(BRT) 운영 협약 체결

국토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대전시, 세종시, 청주시 등 5개 기관 교통관계자들이 대전~세종~청주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약서를 내보이고 있다. 사진제공=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BR><BR>국토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대전시, 세종시, 청주시 등 5개 기관 교통관계자들이 대전~세종~청주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약서를 내보이고 있다. 사진제공=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당초 대전역~세종시간 운행예정이던 광역간선급행버스(BRT·Bus Rapid Transit)가 오송역까지 확대·운영된다.

국토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대전시, 세종시, 청주시는 오는 12월 행복도시~대전역간 25.7㎞ 규모의 BRT 도로 개통을 앞두고 대전~세종~청주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22일 체결했다.

먼저 광역간선급행버스 운행노선을 당초 대전역~세종시에서 대전역~정부세종청사~오송역 구간으로 확대해 이용객 편의와 지역경제발전을 도모하기로 했다.


운영주체는 광역간선급행버스 운영시부터 2년간은 대전시가 단독운영하고 그 이후부터는 세종시가 참여하되 참여비율은 대전시와 세종시가 별도 협의해 정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또한 대전시, 세종시, 청주시는 향후 충청권 광역교통체계 구축 시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대전역~정부세종청사~오송역 광역간선급행버스의 운행시기는 대전시가 세부운행계획 수립, 업체 선정, 면허, 차량 구매, 차량 내부장치 설치 및 시험운행 등 사전절차를 고려해 정하되, 세부운행계획 등을 원활히 수립·시행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국토부와 행복청은 지난해부터 대전~세종~청주 광역간선급행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대전시, 세종시 등과 운행노선 등에 대해 협의를 진행하여 왔고 최종 합의에 이르렀다.

이윤상 국토교통부 도시광역교통과장은 “이번 협약 체결로 테크노밸리 도로 개통과 더불어 빠른 시일내에 광역간선급행버스 운행이 가능하게 돼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며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충청권 3개 지자체를 연결하는 광역간선급행버스체계 운영에 합의한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박희윤기자 hypark@sed.co.kr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