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더민주 의원 방문에…中 '사드 때리기' 여론전 고삐

의원단 駐中 대사 면담 등은 취소

중국의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반발이 거센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소속 초선 의원들이 8일 중국 베이징에 도착했다. 베이징 서우두공항에 도착한 김영호(오른쪽) 의원과 신동근 의원. /베이징=연합뉴스중국의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반발이 거센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소속 초선 의원들이 8일 중국 베이징에 도착했다. 베이징 서우두공항에 도착한 김영호(오른쪽) 의원과 신동근 의원. /베이징=연합뉴스




정부여당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김영호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 6명이 8일 중국 방문에 나섰다. 한반도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놓고 반대 목소리를 키우고 있는 중국 매체들은 이들 의원의 방중 일정을 비중 있게 보도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청와대의 재검토 촉구에도 불구하고 야당 의원들이 방중 일정을 감행하자 중국 언론은 중국 도착부터 이를 실시간으로 보도하며 주말 동안 주춤했던 사드 때리기 여론전의 고삐를 다시 조였다.


방중을 주도한 김영호 의원은 이날 오전 김포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오로지 지금 냉각기에 빠져드는 한중 양국의 외교관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여당의 비판에는 “여권과 청와대의 입장표명은 정말 지혜롭지 못하다. 이런 정쟁이 바로 중국 매체로부터 정치적으로 이용당하는 계기가 된다”고 반박했다. 김병욱 의원도 “야당의 국회의원이기 이전에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라며 “항상 국익이 무엇인지 머릿속에 새기면서 제가 모자라는 것은 공부해서 배우는 좋은 기회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손혜원·신동근·소병훈·김영호·김병욱 의원 등은 이날 오전 출국했고 박정 의원은 오후 비행기로 중국을 향했다.

이들은 이날 베이징에 도착한 뒤 곧바로 김장수 주중 대사를 만나 의견을 듣기로 했으나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밤 갑자기 일정을 취소한 더민주 의원단은 이날 오후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에서 장샤오밍, 한화, 왕둥 교수, 제다레이 강사, 치하오톈 박사 등과 좌담회를 가졌다.


당초 예정됐던 기업인들과의 오찬 간담회도 부담을 느낀 대다수 기업인들이 참석을 꺼려 취소됐다. 베이징 주재 한 대기업 관계자는 “사드와 관련해 국민 여론이 아주 민감한 상황에서 자칫 부정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는 간담회에 참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게 이곳 기업인들의 일반적인 정서”라며 “그렇지 않아도 사드를 빌미로 한 중국당국의 경제제재 움직임 여부에 다들 신경이 곤두서 있다”고 말했다. 9일 오후 교민간담회 장소도 국내 한 대기업의 회의실에서 여는 방안이 추진됐지만 해당 기업이 난색을 표명해 왕징의 한 상업용 건물로 바뀌었다.

관련기사



의원단은 9일 오전에는 중국 공공정책 연구기관인 판구연구소 좌담회와 중국혁명건설촉진회 리홍린 부장과 만찬을 가질 예정이다.

이날 보수 관영매체인 환구시보는 청와대가 전날 “중국 관영 매체가 사드 배치 결정이 북한 도발의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본말전도”라고 밝힌 데 대해 뤼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센터 주임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의 이런 태도는 남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는 ‘도타일파(적반하장과 같은 성어)’와 같은 것”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이날 인민일보와 다른 주요 관영 언론들은 사드에 관한 기사나 논평을 내지 않는 등 중국 매체들의 사드 때리기는 눈에 띄게 줄어드는 양상이다. 베이징의 한 외교 소식통은 “중국당국이 신경을 쓰고 있는 항저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9월4~5일)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상황이어서 이번주부터는 중국 언론들의 사드 때리기가 한풀 꺾일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더민주 의원단의 방중이 미묘한 시기에 진행된 터여서 여파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김광수기자 hbm@sedaily.com

김광수·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