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관세폭탄 맞은 포스코 동남아로 수출길 돌려…中과 또 혈투 벌여야

中 동남아 수출 물량 30% 늘려

"저가공세에 맞서면 수익성 악화

국내 철강사 수출전략 확 바꿔야"





포스코·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사들이 생산하는 한국산 철강재에 미국 정부가 연이어 고율의 관세·상계관세를 매긴데 이어 인도에서까지 ‘관세 폭탄’의 직격탄을 맞게 된 포스코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대미(對美) 수출 규모를 조정해 동남아 등 제3국으로의 수출을 확대한다는 전략이지만, 해당 지역에서 중국산 철강재와 또다시 경쟁해야 하는 만만찮은 숙제를 안고 있다.

중국 역시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미국 등으로부터 ‘관세 폭탄’을 얻어 맞고 수출 다변화에 나서야 하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지난 8일 저녁 본지와 만나 보호무역주의에 기초하고 있는 미국의 고(高)관세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묻는 질문에 “미국으로 수출이 어려워지니 제3국으로 수출 상대국을 전환하는 방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를 포함한 국내 철강사들은 지난해 미국에 총 116만톤의 열연강판을 수출했다. 냉연강판은 18만톤, 기타 도금강판은 33만톤을 수출했다. 전체 수출 규모 대비 개별 강종(鋼種)의 수출 비중은 열연강판이 12.8%, 냉연과 도금강판이 각각 3.3%와 28.5% 수준이다.


결국 이 물량의 상당 부분을 동남아 등으로 돌려야 한다는 뜻이다. 이 경우 수입선 입장에서는 중국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이 우수한 포스코의 제품을 택할 수 있다.

관련기사



다만 전제가 있다. 바로 ‘가격’인데, 값을 낮추면 그만큼 마진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권 회장이 밝힌 포스코의 ‘수출국 다변화’ 전략이 장기적으로는 수익성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우리나라 철강사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받은 중국 업체들이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제3국에서 공격적인 영업에 나설 것이 불 보듯 하기 때문이다. 미 정부는 중국산 저가 철강재로부터 자국 철강산업을 보호하겠다면서 중국산 철강재에 400~500%에 이르는 보복성 반덤핑 관세를 매겼다. 미국을 피해 제3국으로 수출길을 확장해야 하는 처지인 것은 중국 철강사나 포스코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오히려 중국은 자국 내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꾸준히 동남아 수출 물량을 확대해 왔다. 중국은 지난해 전년 대비 30% 이상 많은 물량을 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 등 주요 동남아 국가에 수출했다. 이번에 포스코가 관세 폭탄을 맞은 열연강판의 경우에도 중국산 열연강판의 주요 수요처가 한국을 비롯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이다. 2014년 상반기 기준으로 중국산 열연강판을 많이 수입한 상위 10개국 가운데 절반이 동남아 국가다.

더욱이 인도가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의 열연강판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나선데서 볼 수 있듯이, 이같은 흐름이 동남아 국가에까지 확산될 경우 상황은 더욱 복잡해진다. 국내 철강업체들로선 안팎이 다 막힐 수 있는 탓이다.

박춘성 한국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실장은 “중국을 비롯한 경쟁국 제품이 국내나 동남아 시장에 공급되면 해당 시장에서의 경쟁 강도가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박 실장은 “국내 철강업체들의 수출 전략에 근본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