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지방에서 일하면 학자금 대출 갚아드려요"

日 지자체들, 젊은층 유인 위해 학비 상환제도 도입

인구 감소 따른 노동력 부족 막기 위한 궁여지책.

젊은 세대 유출에 따른 인구 감소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들이 대학 졸업 후 해당 지역에서 취직해 거주하는 조건으로 학자금 대출을 대신 갚아주는 제도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인구 유출에 따른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의 장학사업 운영기구인 일본학생지원기구를 인용, 해당 지역에서의 취업을 전제로 이 기구로부터 학생이 빌린 학비를 대신 상환해 주는 지자체가 10곳에 달한다고 10일 보도했다.

야마나시현은 지역 출신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나 졸업자 가운데 이 기구로부터 무이자 학자금 대출을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대학 등을 졸업한 뒤 6개월 이내에 지역에 정착해 3년간 근무하는 경우에 한해 취업 4년째부터 학자금을 대신 갚아준다. 대졸자의 경우 지자체가 부담하는 상환액은 최대 124만8,000엔(약1,350만원)에 달한다. 야마나시현은 올해 100명 모집에서 160명의 신청자가 몰렸다며, 앞으로 5년간 1,500명의 장학금을 대신 상환해줄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밝혔다.


돗도리현도 지역 건설 및 숙박업체에서 일자리를 구하는 젊은 층을 대상으로 장학금 상환 제도를 도입했다. 정직원으로 지역 내 기업에 취직해 8년간 근무하는 것이 조건이다. 해당 지역 출신이 아니라도 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대졸자의 경우 최대 144만엔까지 장학금 상환 부담을 덜 수 있다.

관련기사



신문에 따르면 일본 직장인의 평균 급여는 오르지 않는 가운데 대학 등록금은 고공행진을 이어감에 따라 학비를 대출에 의존해야 하는 학생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감소로 인력난에 시달리는 지자체들은 이 점에 착안해 젊은 인구 유인을 위한 방편을 마련한 셈이다.

일본학생지원기구가 경제적 이유로 진학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장학금 제도를 이용하는 대학생이나 전문대생은 2014년 현재 전체 학생 수의 38.7%인 103만8,000명로, 3개월 이상 대출금 연체자는 17만명에 달한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