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학교도 '전기료 폭탄'에 전전긍긍…"쓴만큼만 내게 요금체계 바꿔야"

기본료 피크 사용량으로 결정

"할인률 낮아…전기료 눈덩이"

16일 고교 개학 앞두고 근심





연일 계속되는 불볕더위에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제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선 학교들도 ‘전기료 폭탄’ 우려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에 기본료가 전체 전기요금의 43%나 되는 교육용 전기료 체제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10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용 전기요금 중 기본료는 정해진 기본 단가에 피크 전력 사용량을 곱해 결정된다. 문제는 기본적으로 교육용 전기 판매 단가가 농사용과 산업용보다 높고 여름과 겨울 피크기 때 전기를 많이 사용하다 보면 기본요금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는 점이다. 이런 전기료 체계에 따라 학교에서는 폭염에도 학생들을 위해 마음껏 에어컨을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이른 방학을 한 일부 학교에서는 단축 수업이나 다시 임시 방학을 하는 등 고육책을 쓰고 있지만 오는 16일부터 대부분 고등학교가 개학할 예정이라 학교 측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교육부는 전기료 체제 개선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한국전력 등과 논의하고 있지만 산업부 등에서 난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해 당정협의를 통해 여름(7∼8월)과 겨울(12∼2월) 전기요금 할인율을 기존 4%에서 15%로 대폭 올렸지만 실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체 요금 할인이 아니라 4∼6월 평균 전력량을 넘어서는 금액에 대해서만 할인이 되고 기본료 자체가 높다 보니 실제 할인은 크지 않다”며 “방학으로 학교가 비어 있는 7∼8월 사용량에 대한 할인보다는 실제 사용량이 많은 방학 직전과 직후인 6∼9월 초까지 할인 기간을 연장해달라고 관계 부처에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피크 전력 사용량을 기반으로 한 현재의 전기료 체제보다 쓴 만큼 내는 방식으로 바꾸는 등 교육용 전기료 체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