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초고령층 이산가족, 25년 후 대부분 사망해

이산가족 사망자 수가 생존자 수를 추월했다 /출처= 연합뉴스 TV 캡쳐이산가족 사망자 수가 생존자 수를 추월했다 /출처= 연합뉴스 TV 캡쳐


올해 들어 이산가족 사망자 수가 생존자 수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봉 예정자의 상당수가 80대 이상 초고령층임을 고려하면 25년 후에는 생존자 대부분이 사망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1일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현황과 특징’ 보고서에서 이와 같이 언급하며 생애 한 번이라도 북(北)에 있는 가족을 만나려면 연간 7,200명은 상봉에 나서야 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월 이산가족 사망자 비율이 50.4%를 찍으며 처음으로 50%를 돌파한 이래 4월 50.5%, 6월 51.3%를 기록하는 등 사망자 비율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한국전쟁 정전 63주년인 올해 6월 말 기준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30,850명이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67,180명(51.3%)으로 63,670명인 생존자(48.7%) 수를 추월했다.

이산가족의 대부분이 초고령층인 점을 감안하면 상봉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은 것이다.


상봉 대상자 가운데 초고령자로 분류되는 80대 이상은 60.4%, 70대까지 포함한 고령층은 전체의 84.4%에 달한 가운데, 70세 이상의 평균 기대여명은 7년 9개월에 그치고 있어 고령층은 10년 이내에 대부분 사망할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더욱이 2014년 기준 50∼60대 기대여명이 평균 25년 3개월인 점에 비춰 25년 이내에 이산가족 생존자들 거의 모두가 사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이산가족 생존자들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지만, 상봉 기회는 오히려 줄고 있다.

정부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은 2000년대 초중반에는 해마다 2∼3차례 정도 진행됐으나 2009년 이래로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그 횟수가 급감했다. 민간차원의 상봉도 마찬가지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기대수명을 고려할 때 현재의 모든 생존자가 생애 한 번이라도 상봉하기 위해서는 상봉 인원을 매년 7,2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하며 특히 70세 이상 고령자는 10년간 매년 약 6,800명 이상 상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 차원의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15년간 모두 20차례에 걸쳐 진행됐으며 이를 통해 모두 2만3,676명이 만났다.

/이효정인턴기자 kacy951@sedaily.com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