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경제난에 ‘공포통치’로 통제 강화”

대북소식통 “올해 들어 탈북자 가족, 브로커 등 60여명 공개 처형”

주거지 이탈 주민 체포해 강제노동에 투입도

북한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여파로 경제난이 이어지자 주민들에 대한 공개처형을 대폭 늘리는 ‘공포통치’로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북한 사정에 밝은 대북소식통은 “북한에서 올해 들어 최근까지 공개 처형된 주민의 수는 약 60여명에 이르며 이는 김정은 집권 이후 연 평균 처형자 수(30여명)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북한 당국이 주민 대상 공개처형을 확대하고 있는 것은 경제난 극복을 위한 ‘70일 전투’, ‘200일 전투’와 같은 주민 동원, 무리한 상납금 강요로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자 주민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특히 북한은 탈북자를 체제 위험요소로 인식하고 북한에 남은 탈북자의 가족과 탈북브로커(중개인)들을 수시로 공개 처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2월 초 탈북민 재북 가족과 브로커 수십 명이 간첩 혐의로 처형됐고 4월에는 양강도 혜산에서 브로커들을 비롯해 한국영화·드라마를 시청한 주민들이 총살된 것으로 전해진다.

다른 대북소식통은 “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주민 단속기구인 ‘3·12 상무’가 주거지 이탈 주민들을 대대적으로 체포해 지난 6월부터 시작된 200일 전투를 위한 강제 노동에 동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3·12 상무는 지난 2014년 3월 12일 노동당 조직지도부를 중심으로 공안기관들이 함께 참여해 구성된 기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치는 대북제재에 따라 악화되고 있는 경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