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전문가 5인이 본 가을 부동산시장] 경기 '화성·김포·시흥' 공급과잉 우려

서울 출퇴근 어려워

외부 인구 유입 적고

내부수요도 많지 않아



경기권에서 화성·김포·시흥 등이 아파트 공급과잉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선정됐다.

닥터아파트가 2016~2018년 아파트 입주물량과 지난달 기준 주민등록 가구 수를 비교한 결과 경기도 전체 평균 입주량은 2.1%로 조사됐다. 100가구당 연간 입주물량이 2.1가구라는 의미다.

시군별로 보면 올해 입주물량이 많은 미사강변도시가 있는 하남이 9.8%로 입주량이 가장 많았다. 다만 미사강변도시는 송파구·강동구와 인접해 재건축에 따른 외부 유입수요가 많아 입주물량을 소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다음은 동탄2신도시 입주물량이 쏟아지는 화성(6.9%)이다. 3~4위는 한강신도시 입주물량이 많은 김포시(5.2%), 오는 2017~2018년 목감지구 은계지구 배곧신도시에서 입주물량이 많은 시흥시(4.5%)가 차지했다. 이어 광주(4.0%), 평택(3.7%), 안성(3.6%), 오산(2.9%), 구리(2.8%), 용인(2.6%)이 경기 평균 입주량을 웃돌았다.

관련기사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이들 지역에서 우려가 큰 곳은 서울 출퇴근이 쉽지 않은 화성·평택·김포·시흥·안성·오산 등이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주수요가 적고 내부수요 역시 많지 않아 공급과잉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또 내년 이후 국지적으로 역전세난까지 우려된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2016~2018년 입주물량과 주민등록 가구 수를 기초로 한 단순분석이지만 수도권 외곽의 경우 대부분 2016년보다 2017년이, 2017년보다는 2018년에 입주물량이 급증해 공급과잉은 물론 역전세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재유기자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