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상반기 '조선 빅3'서 5,000명 떠났다

불황에 인력 감축 더 늘어날 듯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조선 업계가 강도 높은 자구계획을 이행 중인 가운데 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현대중공업 등 ‘빅3’ 업체에서만 올 들어 3,000여명이 일터를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중공업그룹이 최근 약 2,000명 규모의 희망퇴직을 실시한 것까지 고려하면 올 상반기에만 5,000여명이 퇴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14일 조선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2만7,400명이었던 현대중공업 직원 수는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2만6,300여명 수준으로 줄었다. 약 1,100명이 회사를 떠난 것으로 이 가운데 800여명은 정년퇴직, 100여명은 분사된 산업기계 부문 소속 직원 수가 포함됐다. 이는 현대중공업이 최근 실시한 희망퇴직으로 떠난 인력 수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이들 인원까지 합하면 구조조정 규모는 더 늘어난다.


현대중공업은 올 들어 세 차례에 걸쳐 근속연수 20년 이상 사무직 과장, 생산직 기장(과장급에 해당)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고 이때 총 2,000여명이 회사를 떠났다. 이후 근속연수 15년 이상 사무직 대리, 생산직 기원(대리급에 해당) 이하 직원을 대상으로도 희망퇴직을 받았다. 따라서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난 규모는 최소 2,00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삼성중공업 역시 강도 높은 인력 구조조정 작업을 벌여 올 상반기에만 1,500여명이 퇴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중공업은 6월 자구계획 이행의 일환으로 올해 1,500여명 규모의 희망퇴직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삼성중공업이 오는 2018년까지 전체 인력의 최대 40%를 줄일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어 추가 인력 감축도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말 1만3,000명 수준이던 직원 수가 500여명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 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인력 규모는 과거 호황기에 맞춰진 것이기 때문에 일감이 줄어든 현재 상황에서는 인력 조정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