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재생불량 빈혈, 세포이식 후 치료율 97% 방법 개발

기존 비(非) 혈연간 세포 이식, 방사선 치료 필수

성장장애 등 방사선 부작용 있고 75% 생존율 그쳐

서울대 연구진, 비혈연 이식서 '항암제 용량 조절' 통해

방사선 치료없이 97% 생존율 이뤄

"혈연 공여자 없는 환자에게 큰 희망 될 것"

피가 잘 재생되지 않는 중증 빈혈을 앓는 소아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조혈모세포이식 치료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안효섭·강형진 서울대 의대 소아과 교수팀은 국내 ‘중증 재생 불량 빈혈’ 소아 청소년 환자에게 혈연이 아닌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한 뒤, 치료 과정에서 기존의 항암제 처방을 바꾼 결과 장기 생존율을 97%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고 16일 밝혔다.


그 동안 국제적으로 이식등록기관에서 발표한 소아 청소년의 중증 재생 불량빈혈 관련 조혈모세포이식 치료성적은 평균 약 75%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소아 청소년 관련 혈액질환 중 가장 치명적이고 희귀한 질환으로 알려진 ‘중증 재생 불량 빈혈’은 가족 중에서 적절한 공여자가 없으면 불가피하게 다른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해야 한다.


‘피를 만드는 어머니 세포’란 뜻을 가진 조혈모세포는 우리 몸 혈액 내 적혈구·백혈구·혈소판·각종 면역세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같은 조혈모세포가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할 때 가족 또는 다른 사람의 건강한 세포를 이식하는 치료법이 바로 조혈모세포이식이다.

관련기사



조혈모세포이식은 고용량 항암제 혹은 전신 방사선치료를 해야 하는 독성이 높은 고위험·고비용의 시술이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소아 청소년 재생불량빈혈에는 전신 방사선치료를 동반한 비혈연 조혈모세포이식을 많이 시행했다. 그러나 혈연간 세포 이식에 비해 비혈연 세포이식은 성장장애 등 방사선 부작용을 동반하고, 생존율도 75%에 그친다.

이번에 연구진이 찾아낸 것은 전신 방사선 치료 없이 항암제 ‘사이톡산’과 ‘플루다라빈’을 적절하게 사용해 생존율을 97%로 끌어올리는 방법이다. 사이톡산의 용량을 줄이고 플루다라빈의 용량을 늘여 항암제 독성을 줄이고 효과를 극대화해 치료 성공률을 높였다.

강형진 교수는 “성장장애, 갑상선질환, 백내장, 2차 암 발생 등 부작용을 유발하는 방사선 치료 없이 항암제만으로도 성공적인 조혈모세포이식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혈연 공여자가 없는 환자에게 큰 희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골수이식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