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유방암 치료 효율 높이는 약물 치료법 개발

박인철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

호르몬 치료에 암세포 포도당 분해과정 방해 약물 첨가…치료 효과 2배 상승

박인철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은 호르몬 치료에 암세포 포도당 분해과정을 방해하는 약물을 첨가했을 때, 호르몬 약물 치료 효과를 2배 이상 상승시키고 호르몬 치료 저항성(내성)을 가지는 암세포의 사멸을 호르몬 단독 치료군 대비 50%이상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박인철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은 호르몬 치료에 암세포 포도당 분해과정을 방해하는 약물을 첨가했을 때, 호르몬 약물 치료 효과를 2배 이상 상승시키고 호르몬 치료 저항성(내성)을 가지는 암세포의 사멸을 호르몬 단독 치료군 대비 50%이상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박인철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박사박인철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박사


유방암 환자에 대한 호르몬 치료 효과를 더 상승시키고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약물 치료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16일 미래창조과학부는 박인철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이 호르몬 치료에 암세포 포도당 분해과정을 방해하는 약물을 첨가했을 때, 호르몬 약물 치료 효과를 2배 이상 상승시키고 호르몬 치료 저항성(내성)을 가지는 암세포의 사멸을 호르몬 단독 치료군 대비 50%이상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방암 수술을 받은 환자 중 호르몬 수용체 단백질이 발견된 환자를 대상으로 호르몬 치료를 시행하는데, 일부 환자들의 경우 호르몬 치료에 대해 치료효과가 미미하거나 치료 이후 암이 재발되어 생존율이 낮아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연구팀은 암세포 포도당 분해 과정을 방해하는 약물을 호르몬 치료 시 첨가했을 때 암세포의 왕성한 성장 및 재발 관련인자인 ‘세포성장인자 수용체’를 분해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규명했으며, 인위적으로 확립한 호르몬 치료 저항성 세포에서 세포성장인자 수용체가 높게 나타나고 저항성 세포에서도 그 치료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관련기사



이런 결과는 유방암을 대사질환성 질병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결과이며 암세포 특이적 포도당 대사를 조절하면 항암효과를 더욱 더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다.

박 박사는 “이번 호르몬 치료 증진 기술을 임상에 적용해 유방암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라며 “세포성장인자 수용체 단백질을 미리 검사함으로써 재발을 예측하고 환자별 맞춤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지원하는 ‘방사선암창조경제실용화사업’, ‘방사선연구개발사업’ 및 ‘방사선중개연구활성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국제 암 생물학 학술지 온코타깃(Oncotarget) 2016년 8월 1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