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값싼 노동력 자랑하던 중국도…공장 '로봇화' 탄력

값싼 노동력을 자랑하던 중국이 인건비 상승으로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중국 제조업이 로봇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출처=이미지투데이값싼 노동력을 자랑하던 중국이 인건비 상승으로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중국 제조업이 로봇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출처=이미지투데이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비교적 저렴한 노동력으로 유리한 고지에 섰던 중국이 노동자 인건비 상승으로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중국 제조업이 로봇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6일(현지시간) 중국의 제조업체들이 노동자를 대신해 제품생산 라인에 로봇 투입 비중을 늘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델과 레노버에 납품할 랩톱을 조립하는 쑤저우 빅토리는 2년 전부터 로봇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 인건비가 상승하고 직원들의 이직률이 높아지자 회사 측은 로봇을 적극 투입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 것이다. 이 회사는 독일의 쿠카(Kuka)로부터 올해에도 160대의 로봇을 구매하기로 했다. 쑤저우 빅토리의 유젠 가오 회장은 “값싸고 열심히 일하는 근로자로부터 장점을 누리던 시대는 갔다”면서 “한 아이 낳기 정책의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중국 공장의 로봇 활용 범위는 다양하다. 과거에는 중공업 위주로 로봇을 제조 라인에 투입했지만 현재는 가전제품제조업과 의류업 등에도 로봇 투입이 확산 되고 있다. 로봇이 작은 부품까지 조립할 수 있게 발전하면서 중국은 섬세한 기술이 요구되는 업종에도 로봇을 투입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제조업체들이 로봇 의존도를 높이는 가장 큰 이유는 인건비 상승과 노동력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에 따르면 중국 근로자의 임금은 2000년에 미국 근로자의 30% 수준에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64%로 크게 뛰어올랐다.

관련기사



또 유엔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 노동자의 수는 2010년 9억 명으로 절정에 오른 뒤 현재 감소세이다. 2050년에는 중국의 노동력이 8억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유럽산 산업용 로봇을 통해 생산공정을 자동화하려는 움직임이 탄력을 받고 있다.

중국이 로봇을 산업현장에 투입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은 2013년에 세계 최대 로봇 시장이 됐다. 지난해 중국 제조업체들이 구매한 로봇은 6만7,000 개로 전 세계 판매량의 4분의 1에 달했으며 2018년에는 15만 개의 로봇을 주문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로봇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은 직접 로봇 제조 기술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가정용품 제조업체인 미데아 그룹(Midea Group)은 쿠카(Kuka)의 지분 인수에 나서 현재 86%를 차지하고 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