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의료비 부담에 출산기피하는 '이른둥이' 부모 증가

대한신생아학회 조사,

이른둥이 부모 62% "자녀 더 낳지 않겠다"

4년 전 조사때 보다 18% 증가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후 막대한 의료비 부담에

추가 출산 생각할 수 없어

임신 기간 37주 미만에 태어난 이른둥이(미숙아)를 키우는 부모 10명 중 6명은 의료비 부담 등으로 추가출산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대한신생아학회와 박인숙 새누리당 의원은 국회의원회관에서 ‘저출산 시대의 이른둥이 지원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이른둥이 가정의 의료비 부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학회는 6~7월 전국 주요병원에 방문한 1,007명의 이른둥이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이른둥이 부모의 62%는 추가출산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 전인 2012년 조사 때의 추가출산 기피율 44%보다 증가한 수치다.

추가출산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이른둥이 재출산에 대한 우려가 32.3%로 가장 높았고 ‘치료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27.4%), ‘태어난 이른둥이 치료에 집중하기 위해’(14.7%) 등의 답변도 높은 비율로 나왔다.


의료비 부담을 보면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이후 병원 재입원, 진료, 재활, 예방접종 등으로 지불한 의료비가 1,000만원 이상인 이른둥이 가정은 12.6%에 달했다. 의료비 부담이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인 가정은 13%, ‘2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24.9%, ‘200만원 미만’이 49.6%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특히 임신 기간 28주 미만의 이른둥이는 의료비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이후 1,000만원 이상 의료비를 지불한 28주 미만 이른둥이 가정의 비율은 21.7%까지 올라갔다.

또 이른둥이 5명 중 1명은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이후에도 30일 이상 병원에 재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둥이 24.6%가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이후 재입원을 경험했으며 재입원 입원일수는 7일 이내가 39%로 가장 많았고 7~14일이 24.1%, 30일 이상이 18.9%를 차지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가장 많은 재입원 원인은 호흡기감염(37.7%)이었으며 수술(18.1%), 호흡기외 감염(14.5%), 성장부진 및 영양 문제(3.9%) 순이었다.

최명재 학회 대외협력위원장(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은 “이른둥이는 신체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라며 “면역력이 약해 감염 등으로 생후 2~3년간 진료, 입원, 재활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해서 의료비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른둥이 부모가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후 1년간 부담하는 의료비는 막대하다”며 “특히 이른둥이의 가장 큰 문제인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RS바이러스 예방접종은 1회 100만원 수준으로 건강보험 적용으로 받아도 본인 부담이 42% 수준에 달하는 만큼 국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병일 학회 회장(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도 “이른둥이는 해마다 늘어가는데 신생아집중치료실 퇴원 이후 치료에 대한 의료비 경감 대책은 전무한 상태”라며 “이른둥이는 저출산 문제 해결책이자 미래성장동력이란 점에서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