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맛집부터 불량업체·불량식품 정보 휴대폰 확인…‘내손안 식품안전정보’

맛집부터 불량업체·불량식품 정보 휴대폰 확인…‘내손안 식품안전정보’맛집부터 불량업체·불량식품 정보 휴대폰 확인…‘내손안 식품안전정보’




여행지의 맛집은 물론 위생불량업체, 불량식품 정보를 휴대폰 앱을 통해 손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휴대폰을 이용해 주변의 비위생적인 음식점 정보와 회수.폐기 대상 불량식품을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앱 ‘내손안(安) 식품안전정보’를 개발하고 19일부터 국민에게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번 모바일 앱은 음식점 75만4000여곳, 제과점 1만7000여곳, 주점 4만3000여곳 등 전국 식품관련업체 128만곳, 국내에 판매 중이거나 판매됐던 식품 101만건, 국내로 수입된 식품 119만건의 정보를 제공한다.

그 동안 식약처는 관련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분산되어 있던 식품안전정보를 모아 PC 기반의 ‘식품안전정보포털(www.foodsafetykorea.go.kr)‘을 ’15년부터 운영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해 왔다.

이번에 개발된 모바일 앱은 △내 주변 식품업체 △전국식품업체 △국내 생산제품 △수입식품 정보 등을 제공한다.


내 위치 주변 식품업체 정보에서는 네이버 지도와 연계하여 휴대폰 소지자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2km내에 있는 동네 음식점, 편의점, 제과점 등 식품접객업체의 인허가, 행정처분 정보 등을 제공한다.

관련기사



전국 식품업체와 국내 생산제품 검색을 통해서는 최근 3년간(음식점은 1년) 행정처분을 받은 비위생적 식품업체와 국내 유통 단계에서 부적합된 회수.폐기 대상 불량식품 정보(사진 포함)를 찾아 볼 수 있다.

수입식품 정보에서는 제품명, 수입업체 등을 입력하면 정식으로 수입절차를 거쳐 수입된 제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모바일 앱 각 단계에서는 소비자가 식품위생과 관련된 위반사실을 발견할 경우 즉석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식약처로 신고할 수 있는 불량식품 신고 기능도 제공한다.

식약처는 “이번 앱 개발을 통해 국민들이 현장에서 불량식품 제조·판매 업체를 확인하여 안전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앱을 고도화 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개방되는 모바일앱은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휴대폰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아이폰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사진=식품의약안전처 제공]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