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자체 콘텐츠 제작 노리는 네이버·카카오

올림픽 기사·정보 등 정리해

이용자들 편의성 높여 호응

"콘텐츠 공급 나서나" 논란도

브라질 리우 올림픽 기간에 네이버와 카카오가 막강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자체 콘텐츠 제작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기사, 정보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이용자들의 서비스 편의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플랫폼 사업자가 콘텐츠 공급자로 나서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로 ‘체육부장’이라는 계정을 운영해 매일 오전 카카오톡 메시지로 리우 올림픽 소식을 전한다. 이 메시지에는 리우 올림픽 소식이 300자 안팎으로 정리돼 있고 신문·방송사가 보도한 뉴스를 링크를 통해 소개한다.


체육부장이 언론사 콘텐츠를 가공해 제시한다면 네이버가 제공하는 ‘오늘의 리우’, ‘내일의 리우’는 네이버에서 자체적으로 기사 형태로 작성한 콘텐츠다. 네이버는 한 마케팅 대행사에서 사들인 기초 자료를 토대로 오늘의 리우와 내일의 리우를 제작해 PC·모바일의 ‘리우 2016’ 특별 페이지 상단에 노출했다. 이 기사에는 리우 올림픽 주요 경기 일정과 결과가 동영상, 사진, 표와 함께 담겼다. 초기에 네이버는 ‘자료제공 씨엘오미디어, 기사제공 네이버스포츠’로 명시해 기사 작성자로 등장했다가 논란이 일자 최근 이를 삭제했다.

관련기사



네이버 관계자는 “이번 서비스는 뉴스 페이지와 별도로 시도된 것”이라며 “논란이 인 만큼 앞으로 유사서비스를 어떻게 할 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나 카카오에서 콘텐츠 제작으로 방향을 돌린다면 시장에 매우 위협적일 수 있다”며 “미디어 환경에 대격변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