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오바마는 마약거래상 우두머리"…美공화 상원의원 발언 '논란' 예상

미 정부 "4억 달러 상환은 '이란 핵합의' 후속 조치에 따른 것"

공화당 "이란이 그 돈을 테러지원에 활용할 우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마약거래상의 우두머리(The drug dealer in chief)라고 지칭한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의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마크 커크(일리노이) 의원은 지역 매체인 ‘스테이트 저널-레지스터’ 인터뷰에서 오바마 행정부가 지난 1월 이란에 현금 4억 달러를 비밀리에 건넨 사건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이같이 비유했다.


미 정부는 이란에 건넨 4억 달러에 대해 ‘이란 핵 합의’의 후속 조치에 따라 양국의 외교관계가 끊이기 이전 1970년대 이란에서 받은 미군 장비 구매 신탁금과 이자 등을 합친 17억 달러의 일부를 상환한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미 국무부는 최근 “이란의 미군 장비 구매 신탁금 상환과 이란에 억류된 수감자 석방 협상은 별도로 진행됐다”면서도 “다만 수감자들이 석방될 때까지 ‘지렛대’로서 자금 전달을 보류했다”며 두 사안의 일부 연관성을 시인한 바 있다.

관련기사



이에 공화당은 이것이 사실상 이란 억류 미국인 인질 석방에 대한 몸값이라고 주장하며, 청문회 개최 등 대대적인 공세를 펴고 있다.

커크 의원은 “우리는 마약거래상의 우두머리처럼 행동하는 대통령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테러지원국(이란)에 깨끗한 돈다발을 안겨줬는데 그 돈 때문에 앞으로 여러 나라에서 많은 문제가 일어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란이 그 돈을 테러지원에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같은 당 톰 코튼(아칸소) 상원의원도 앞서 지난 7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현금을 표식도 돼 있지 않은 비행기에 실어 몰래 세계 최악의 테러지원국에 공수해 주면서 마치 마약 카르텔처럼 행동한 것은 모든 미국인에게 충격적”이라며 비슷한 비유를 했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