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대 시흥캠퍼스 사업 본격화…올 하반기 착공 예정

서울대가 9년간 끌어온 시흥캠퍼스 조성 사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출처=구글서울대가 9년간 끌어온 시흥캠퍼스 조성 사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출처=구글


서울대가 9년 만에 시흥캠퍼스 조성 사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서울대학교는 경기도 시흥시 배곧신도시 지역특성화 사업자인 한라와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협약에 따라 서울대는 배곧신도시 특별계획구역 91만여㎡ 가운데 교육·의료복합용지 66만 2,000여㎡를 시흥시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고 한라로부터 캠퍼스 시설지원금 3,000억 원을 지원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약에는 구체적인 캠퍼스 조성안이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친환경 캠퍼스를 조성할 것,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글로벌복합연구단지를 조성할 것 등이 포함됐다.

또 공교육 발전을 위한 협력과 초·중·고 단위학교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상호 노력하기로 하는 내용도 담겼다.

관악캠퍼스의 과밀을 해소하기 위해 조성되는 캠퍼스인 만큼 공간 제약상 관악캠퍼스에서 하기 어려웠던 무인자동차, 드론 등 첨단 연구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캠퍼스는 올해 하반기에 착공해 2018년 3월부터 순차적으로 조성된다.

학생들의 반발을 부른 기숙형 대학과 관련해서는 백지 상태에서 재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서울대는 기획부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시흥캠퍼스 추진위원회(가칭)’를 구성하고 교수, 학생, 직원 등 학내 구성원이 참여하는 협의체, 시흥시와의 협의체를 수립해 조성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서울대 관계자는 “논의 결과에 따라 서울대가 국제화, 창업 중심의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캠퍼스가 될 것”이라며 “답보 상태에 빠진 대학에 변화의 계기가 생길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은 이장무 전 총장 재임 시절인 2007년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비전을 담은 ‘서울대 장기발전계획(2007∼2025년)’을 마련하면서 시작됐다.

2007∼2008년 캠퍼스 후보지를 공모했고 공모에 참여한 9개 지자체 중 경기도 시흥시가 캠퍼스 조성지로 결정된 바 있다. 서울대는 2009년 경기도, 시흥시와 양해각서를 시작으로 2011년 시흥시와 기본협약, 2012∼2014년 3차례 부속합의서를 체결했다.

이번에 체결한 실시협약은 법적 효력을 부여하는 협약으로, 3자는 이 사업의 공식적인 파트너로 캠퍼스 조성에 의무와 권리를 갖게 된다.

그동안 서울대가 캠퍼스 활용 설계 미확정을 이유로 수년간 실시협약을 지연시켜 시흥시 주민을 중심으로 항의가 계속돼 왔다.

/주현정 인턴기자 hyunjeong1014@sedaily.com

주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