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물에서 전기 만드는 기술 성공...친환경 에너지 시대 열리나

명재하 박사·존 얼바인 연구팀 '네이처' 게재

전기화학적 공정 통해 안정적 전기 생산 가능

물에서 전기를 생산해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를 통해 친환경 수소 에너지 시대에 한 발자국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세대는 이 대학 세라믹공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세인트앤드루스 대학에서 박사후 과정 연구를 하는 명재하 박사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 존 얼바인 교수 연구팀이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수소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22일(영국 시간) 과학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세라믹에서 나노 촉매의 성장을 극대화해 이를 ‘가역 고체산화물전지’에 적용시켜 수소 에너지에서 전기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가역 고체산화물전지는 오염물질 없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지만 700~900도에서 작동하는데다 효율적·안정적인 전기를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기존 물리·화학적 공정을 이용하는 대신 전기화학적 공정을 통해 나노 입자가 자가 성장할 수 있도록 했다. 고온에서 나노 입자간 응집 현상이 발생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물리·화학적 공정과 달리, 전기화학적 공정은 안정적으로 전기가 생산된다.

연구팀은 이 같은 방식을 이용해 기존 전극 물질보다 5배 이상 높은 전기를 생산할뿐만 아니라 추가 공정 없이 대량생산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