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질연, 해남 모이산-가사도에서 ‘금광맥’ 발견 ‘쾌거’

지질연, 해남 모이산-가사도에서 ‘금광맥’ 발견 ‘쾌거’지질연, 해남 모이산-가사도에서 ‘금광맥’ 발견 ‘쾌거’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지질 탐사 기술로 지하 300미터에 묻혀 있는 약 20만 톤의 금광석을 찾아내는 데 성공해 화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지질연)은 땅속 깊은 곳까지 탐사해 구리나 금, 은과 같은 금속을 찾아낼 수 있는 ‘광대역 유도분극 정밀탐광기술’을 개발, 해남 모이산과 가사도에 있는 광구에서 새로운 금광맥을 찾아냈다고 23일 보도했다.

기존 유도분극 탐사는 지하에 직류 전류를 흘려 보내 땅속 매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따라 생기는 분극현상을 유도하고 이를 측정해 지하구조를 파악하는 기술로 알려졌다. 그러나 고출력 직류 전류를 지하로 흘려보내기가 어렵고 전자기 잡음이 생겨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내기가 난해했다.


지질연이 개발한 광대역 유도분극 정밀탐광기술은 교류 전류를 지하로 흘려보내 땅속 지질을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탐사할 수 있는 기술. 기존 탐사 기술의 문제점인 전자기 잡음이 유발하는 측정 오류를 해결할 수 있어 양질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관련기사



지질연은 자체 개발한 광대역 유도분극 정밀탐광기술을 중소기업 희송지오텍과 함께 상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연간 약 2338톤의 정광(금 255kg)을 생산하고 있는 골든썬주식회사가 운영중인 ‘천열수 금광상(해남 모이산 광구와 가사도 광구)’에 적용해 새로운 금광맥을 발견하고 채광 가능한 금광석 약 21만 1283톤(금 627.5kg)을 확보했다.

김규한 지질연 원장은 “이번 자원탐사 신기술 개발은 산업에 필수적인 금속광물 탐사 기술을 한단계 진일보시킨 것”이라며 “세계 자원탐사 기술 시장에서도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