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광복회 "건국절 논란 관련 국회 공개토론 제안 찬성"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연합뉴스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연합뉴스


광복회는 23일 성명을 통해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건국절 관련 국회 내 대국민 공개토론 제안을 적극 찬성한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건국절’ 발언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최근 국회에서 이 문제를 놓고 대국민 공개토론회를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광복회는 이날 “건국절 공개토론은 그동안의 국력 소모를 줄이고, 국민 대통합을 이룰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일 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근간을 분명히 밝히고, 국가 정체성을 영구히 유지해 나가는 데 중대 사안이라 여겨진다”면서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광복회는 “여야 정당의 국회의원들이 건국절 논쟁을 정쟁의 도구나 정치적 사안으로 보지 않을 것으로 믿는다”면서 “나라의 발전과 민족의 번영을 위하는 마음으로 공부를 많이 하고 토론회에 임해 줄 것을 원한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에 다 있는 생일도 없는 대한민국 운운하며 국민을 오도하지 말라”며 “대한민국이라는 국호(國號)를 처음 쓴 1919년 4월 13일을 대한민국의 생일로 정하면 왜 안 되는가”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광복회는“오늘날 대한민국은 그냥 얻은 대한민국이 아니다”라며 “독립을 선언한 3·1독립운동 직후 대한민국 수립을 임시정부가 선포하고, 부단한 독립운동을 통해 광복을 되찾았으며, 1948년 정식정부가 수립되어 그 정통성을 이어받았다는 것이 우리 역사의 정설”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1948년 건국절 제정은 과거 친일 반민족행위자들에게 면죄부를 주어 친일행적을 지우는 구실이 될 수 있어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기회주의와 사대주의 사상을 배우게 하는 역기능이 더 많음을 우려한다”고 건국절 논란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끝으로 “우리 사회가 오늘에 이르러 잘못된 판단으로 지난날 오직 나라와 민족만을 위했던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해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