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김형석 삼성전자 상무 "카메라 화각 넓혀 홍채인식률 높일 것"





“카메라 화각을 넓혀서 스마트폰을 집어들기만해도 자연스럽게 홍채 정보가 인식되도록 성능을 개선해나가겠습니다.”

‘갤럭시노트7’에 탑재된 홍채인식 시스템 개발을 주도한 김형석(사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실 상무는 23일 서울 태평로 삼성전자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홍채 인식 개발의 방향성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국내 상용화 스마트폰 가운데 최초로 갤럭시노트7에 홍채인식 기능이 탑재됐다. 제품에 홍채와 지문 인식 기능이 함께 들어있어 고객이 선택 이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홍채 인식 시스템이 적외선 카메라 영상을 활용하기 때문에 방해 물질이 존재하면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안경이나 렌즈에 문제가 있다든지 각막 손상이 있는 경우다. 또 적외선 차단을 위해 코팅된 안경도 홍채 인식에 방해가 된다. 김 상무는 “안경을 쓰거나 야외에서 인식이 잘 안된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러한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폰을 눈 가까이 갖다 대지 않아도 인식할 수 있도록 보완하겠다는 이야기다.

김 상무는 홍채인식이 현존하는 스마트폰 인증 수단 가운데 가장 보안성이 우수하다고 자신했다. 그는 “서로 다른 사람의 지문이 일치될 확률이 1,000만분의 1이라면 홍채의 경우는 10억분의 1 정도일 만큼 보안에 강하다”며 “대체 수단으로 DNA(유전자) 정보를 생각해볼 수는 있겠지만 스마트폰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