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빅데이터·AI 탑재한 차세대 시장감시시스템 나온다

불공정거래 발생 전 경고·차단 기능

2018년 4월 가동 계획

한국거래소가 지능화되는 불공정거래에 맞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등의 최신 기술로 무장한 시장감시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한국거래소는 24일 불공정거래의 예방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빅데이터·AI 등 최신 기술을 탑재한 차세대 시장감시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다음 달 중으로 사업 공고를 낸 뒤 11월 초 시스템 구축에 착수해 2018년 4월 말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거래소는 차세대 시스템에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적용해 기존의 통계분석 위주의 적출방식에서 행위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시장감시 패러다임을 개선할 계획이다. 기존에 통계를 기반으로 불공정거래를 적발한 것과 달리 불공정행위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매매패턴을 보이는 계좌에 AI를 활용한 정밀 분석을 진행해 불공정거래가 발생하기 전에 경고·차단하는 식이다. 특히 차세대 시스템 도입을 통해 거래 내역 등 수치를 분석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인터넷 게시물·공시·뉴스 등과 연계한 빅데이터 분석을 지원함으로써 적출과 분석에 필요한 처리시간이 기존 2일에서 약 1시간으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시스템을 저비용 고성능의 리눅스기반으로 전환하고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를 도입할 경우 데이타베이스 입·출력 성능이 기존 초당 150만건에서 414만건으로 약 2.8배, 불공정거래의 실시간 적출과 거래내역의 분석 처리속도가 초당 3,414만건에서 7,190만건으로 약 2.1배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구축을 통해 거래소는 나스닥 스마츠(Nasdaq SMARTS)가 싱가폴과 호주거래소 등 세계 50여개 기관에 시장감시시스템을 수출한 것처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나설 방침이다. 현재 거래소가 시장감시시스템을 수출하는 곳은 필리핀과 태국,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등 4개국 5개 기관에 불과하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번 시스템 구축은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로보 어드바이저 등 최첨단 정보통신(IT) 기술발달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불공정거래가 꾸준히 나타나는 상황에서 이를 이용한 이상 거래를 조기 포착·예측하는 시장감시가 요구되는데 따른 것”이라며 “부정거래적발과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등 국내 금융회사의 다양한 업무에 적용 가능하도록 범용적인 시스템 구축으로 시스템 상용화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