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52년 내전 콜롬비아, 평화협상 타결..국민투표만 남아

-3년 9개월 마라톤 협상 끝 최종안 타결

-10월 2일 국민투표,.협정안 지지도 높지만 반론 만만치 않아 '난항' 예상

50년 넘게 이어진 콜롬비아 정부와 반군인 콜롬비아무장혁명군(FARC)의 내전이 마침표를 찍었다.

콜롬비아 정부와 FARC는 24일(현지시간) 쿠바 수도 아바나에서 평화협정안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평화협정 합의는 지난 1964년 FARC 결성 이후 52년만이며, 지난 2012년 11월 협상 개시 후 3년 9개월 만이다. 협상 중재를 맡은 쿠바와 노르웨이 대표단은 성명에서 “콜롬비아 정부와 FARC가 평화를 위해 내전을 끝내는 최종적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협정안에는 농지개혁, 마약밀매 근절, 반군의 정치참여와 사회복귀, 내전 범죄 면책 범위 등에 포함됐다. 대량학살이나 성폭행, 납치 등 반인권 범죄는 어느 쪽을 막론하고 면책되지 않는다. 앞서 양측은 전달 정전협정에 서명했으며, 평화협정이 타결된 다음날부터 6개월 이내에 31곳에 마련된 평화지대에서 유엔에 무기를 반납하기로 합의했다.

관련기사



이번 합의안은 의회 동의와 국민투표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후안 마누엘 산토스 콜롬비아 대통령은 오는 25일 의회에 협정안에 대한 동의를 요청하고 10월 2일 국민투표를 실시한다는 일정을 공표했다. 그는 이날 대국민연설에서 “국민투표는 우리 자녀와 손자들이 안전한 국가를 만들기 위해 전념하도록 하는 유일한 기회”라며 지지를 호소했다. 국민투표 가결요건은 유권자 3,300만명의 13%인 430만 명의 찬성이다.

콜롬비아의 현지 여론조사에 따르면 평화협정 지지율이 60%에 달해 가결 가능성이 높지만, 한편에서는 FARC에 대한 반감도 적지 않아 통과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FARC가 지난 1964년 결성된 이후 50여년간 활동자금 마련을 위해 마약밀매와 인신매매 등을 일삼아 오면서 주민들의 인심을 잃은 탓이다. 산토스의 전임인 알바로 우리베 전 대통령 등 반군과 전쟁을 치러온 유력 정치인들도 평화협정에 반대하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평화협정이 발효되면 외국인투자와 관광객 등이 증가하면서 콜롬비아 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