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문...홍채...생체정보 인증 표준화한다

한은, 금융기관간 호환 위해 추진

한국은행이 차세대 금융거래 인증수단으로 부각된 정맥·홍채·지문 등 생체정보를 표준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한은 금융결제국은 26일 펴낸 ‘바이오인증 기술 최신동향 및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를 통해 금융기관 간 생체정보 메시지 호환을 위한 표준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신한은행·IBK기업은행 등은 정맥·홍채를 활용해 ATM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가입자가 많지 않은데다 표준화 미비로 생체정보가 다른 금융기관 간 호환되지 않아 해당 금융기관 내부거래만 가능하다.

관련기사



한은 관계자는 “현재 각 금융기관의 개별 생체인증 정보로는 타은행으로 계좌송금 등 금융서비스가 되지 않는데 표준화를 할 경우 호환성이 확보돼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와 함께 생체정보 인증 서비스 호환성을 높여 금융결제원에서 관련 금융망을 통합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바이오인증 기술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될 과제가 많다는 것이 걸림돌이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은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문제다. 각 금융기관이 보유한 생체정보를 해킹 등의 공격으로 보호하기 위해 저장, 접근 및 전송 등 전 과정의 암호화가 필요하다./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