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오전 전북 김제의 한 요양원에서 실종된 치매 노인 채모(89·여)씨가 인근 한 농수로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3일 전 실종이 확인된 채씨는 농수로를 걷던 중 추락해 변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시도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치매 환자에게 있어 가장 우려되는 것은 실종 및 가출이다. 인지능력이 저하되면서 저체온증이나 교통사고 등 각종 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8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치매환자는 2014년 61만명(노인 인구의 9.6%)에서 오는 2050년 217만명(15.1%)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도 2013년 11조7,000억원(국내총생산(GDP)의 1.0%)에서 2020년 15조2,000억원, 2030년 23조1,000억원, 2050년 43조2,000억원(GDP의 1.5%)으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 채씨와 같은 치매 환자의 사고도 매년 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3년 7,976건이던 치매질환자 실종신고 수는 2014년 8,207건, 2015년 9,045건으로 최근 3년간 13.4% 증가했다.
치매 노인의 실종에 따른 수색에는 엄청난 노력과 자원이 뒤따른다. 지난달 28일 지적장애와 치매를 앓고 있던 모친이 귀가하지 않는다는 112신고를 접수한 울산경찰은 CCTV 290여대를 분석하고 수색을 병행해 대상자의 동선을 역추적, 3일 만에 가용 경찰력을 총동원해 탈진한 대상자를 발견하고 병원에 이송한 바 있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치매 노인의 특성상 일정한 행동 패턴이 없고 무작정 직진하는 습성이 있어 찾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원경찰청은 실종자 수색에 드론을 활용하기로 했으며 경기남부경찰청은 실종자를 찾기 위해 헬기와 드론, 카카오 택시 등 모든 장비를 투입해 입체적인 수색활동을 펴기로 했다. 부산경찰청은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배회감지기를 치매 노인에게 나눠줘 실종 사건 발생 때 신속하게 주변을 수색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울산경찰청도 개인택시조합과의 협약을 통해 조합원 차량 3,643대의 내비게이션 화면에 실종자의 인상착의 등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특히 울산경찰청은 편대비행 드론 도입까지 검토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치매 노인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울산경찰청은 지역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GPS 위치추적기를 2년간 무료 지원하기로 했다. 부산경찰청은 올해 초 부산의 모든 경찰서에 치매 노인을 관리하는 전담 경찰관을 배치하고 앰버경보를 활용한 실종 치매 노인 찾기 시스템을 구축했다. 치매나 인지장애 노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이들을 등급별로 분류하고 실종 위험이 큰 사람을 특별 관리하는 것이다. 전남경찰청은 지문과 사진 등을 사전에 등록하는 제도를 3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성기 울산경찰청 여청수사계장은 “매년 치매질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로 인한 실종 사례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사회와 가정의 관심과 함께 경찰에서도 예방 및 수색에 온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종합